[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45>화막대어부지족(禍莫大於不知足)
不: 아닐 불 知: 알 지 足: 만족할 족
[동아일보]
|
무리한 욕심이 화를 부른다는 것으로 '지족(知足)'이란 자신의 분수를 알고 정해진 사안에 대해 만족감을 갖는다는 의미다. 이 말은 한비자 유로(喩老) 편에 나오는 말이다. 한비는 이런 비유를 들었다. 지백(智伯)은 범씨(范氏)와 중항씨(中行氏)를 병합하고 조(趙)나라를 공격하려고 했으나 한(韓)나라와 위(魏)나라가 지백에게서 등을 돌려 지백의 군대는 진양(晉陽)에서 패했다. 결국 지백은 고량(高梁) 동쪽에서 죽었으며 영토는 마침내 세 나라로 나누어졌고 그의 머리는 잘려 옻칠이 된 다음 요강으로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결국 지백의 무리한 욕심으로 인해 그 자신도 파멸의 길을 걷게 되었고 백성들 역시 갈기갈기 찢어지는 운명에 처하게 된 것이다.
한비는 하나의 비유를 더 들어 보여준다. 초(楚)나라 장왕(莊王)이 황하(黃河)와 형옹(衡雍) 사이에서 승리하고 돌아와 손숙오(孫叔敖)에게 상을 주려고 하자 손숙오는 한수(漢水) 부근의 모래와 자갈이 있는 토지를 청했다고 한다. 그 당시 초나라의 법에는 신하에게 봉록을 줄 때 두 세대를 지난 후에는 영토를 회수하도록 돼 있었는데 오직 손숙오만은 계속 갖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 토지를 회수하지 않은 까닭은 그 땅이 척박했기 때문이고 손숙오가 아홉 대까지 제사가 끊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손숙오의 처신은 우리에게 무리한 욕심이 덧없음을 보여 주기에 충분하다. 욕심이 없을 때 화는 피해가고 복이 굴러오기 마련이고 마음을 텅 비울 때 닥쳐온 위기도 쉽게 넘길 수 있는 법이다.
물론 한비가 말하고자 하는 이면을 살펴보아야 하는데, 이 말은 어찌 보면 장기적인 안목에서 모든 것을 한발 물러서서 바라보라는 측면이 더 강하다. 한비의 말처럼 '상대방에게 취하고자 하는 것이 있으면 그것을 주어야 하는' 것처럼 때로는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가운데 일을 시작하면서도 큰 공을 세우는 미명(微明)의 지혜를 발휘하라는 것이 한비의 통찰력이다. 물론 전제조건은 있다. 한 걸음 물러나 자신을 낮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김원중 건양대 중국언어문화학과 교수
|
▶ 김재연 의원 뒤를 쫒아다닌 군인의 정체는? |
▶ 박지원 "박근혜 올케 홍콩연수…왜 갈까?" |
▶ 변희재 "박지원의 양아치 짓에 민주가…" |
▶ 장쯔이, 보시라이와의 '성접대 파문' 진… |
▶ |
▶ |
▶ [화보] '베이글女' 조여정 가슴 확대?, 5년 전과 비교해 보니… |
▶ [화보] 홍수아, '헉' 소리 나는 파격 노출 화보 |
[☞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이재명 “국회·대통령 집무실 세종으로…임기 내 건립”
- [송평인 칼럼]대선 경쟁이 팽팽해지기 위한 3가지 조건
- [속보]한은, 기준금리 연 2.75% 동결
- 권성동 “이재명, 공수처 강화 공약은 대규모 정치보복 빌드업”
- 헌재 “권한대행이 재판관 지명, 극심한 혼란 생길 것”
- 美, 저성능 AI칩도 中수출 통제… 관세전쟁, 반도체로 확전
- 용인 일가족 살해 가장은 분양업체 대표… 수십억 사기 고발당해
- [단독]건진 “尹과 친분” 檢 진술… 尹장모와 10차례 통화 기록도
- 절대강자 없는 국힘 경선… 의원들 ‘어디에 줄서나’ 눈치게임
- 파월 “관세로 美물가 상승하고 성장 둔화될 것”…금리동결 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