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싱크탱크 ‘성장과 통합’ 내부 갈등으로 해체 위기…출범 8일만
권혜진 2025. 4. 24. 21:45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 싱크탱크로 알려진 ‘성장과 통합’이 출범 일주일여 만에 활동을 잠정 중단했다. 성장과 통합 일부 인사는 해체 소식을 전했으나 유종일·허민 공동 상임대표는 이를 부인하는 등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성장과 통합은 24일 ‘기획운영위원회 일동’ 명의로 해산 선언문을 내고 “지난 23일 오전 11시 참석자 전원의 합의로 해체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현웅 성장과 통합 기획운영위원장은 “특정 후보의 싱크탱크로 불리고 일부 인사가 차기 정부의 특정 자리에 이름이 거론되면서 사전 선거 운동 시비와 민주당 선거대책본부 활동과 관련해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며 “우리는 한 자리에 머무르지 않기로 결단했다. 앞으로도 각자의 자리에서 성장과 통합의 정신이 이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나 유종일·허민 상임공동대표는 입장문을 내고 “발전적 해체라는 의견도 나왔지만, 최종 결의된 바 없다”며 “정책 제언집을 특정 캠프에 전달하는 것은 선거법 위반 소지가 있을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각 정당에 전달할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임병식 성장과통합 대변인도 “해체를 운운하는 보도자료는 두 상임공동대표 입장과 정면 배치된다”고 강조했다.
성장과 통합은 지난 16일 국회도서관에서 출범식을 갖고 공식 활동을 시작했다. 각계 전문가 550여명이 참여하는 이 단체는 ‘3·4·5 성장’(잠재 성장률 3%·4대 수출대국·1인당 국민소득 5만달러) 비전을 제시하기도 했다.
성장과 통합은 오는 28일 첫 공개 일정으로 인공지능(AI) 분야 심포지엄을 열 계획이었으나 돌연 연기했고, 지난 22일 국회에서 민주당 의원 대상으로 ‘새 정부의 경제정책 방향’을 주제로 특강도 준비했으나 취소했다.
이러한 가운데 민주당 내부에서는 ‘성장과 통합’에 지나치게 관심이 집중되는 데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 해당 단체에서 나온 정책 제안들이 마치 민주당의 공식 공약이나 이재명 후보의 공약인 것처럼 비쳐질 수 있다는 점에서다.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이날 “후보가 확정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미완성된 정책 공약이 언론을 통해 무분별하게 보도되는 데 대해 당내외 우려가 크다”며, “이러한 일이 반복될 경우 징계 요구도 검토하겠다”고 지시했다.
권혜진 기자 hjk@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쿠키뉴스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백종원 리스크’ 더본코리아 주가 반토막…웃은건 누구였나 [상장後①]
- SKT 해킹사태 대선 이슈 부상…이재명‧김문수 “책임규명·대책마련”
- ‘2조5천억’ 국가AI컴퓨팅센터 사업…낮은 지분율에 망설이는 기업들
- 차기 정부 직면할 에너지정책…재생e 송배전·주민수용 문제 [산업공약 키워드①]
- 상폐 위기 해소한 ‘신라젠’…올해 실적 반등 기대감
- ‘MASH 신약’ 차세대 블록버스터로 부상…개발 열기 후끈
- 김문수 “경제 문제, 무조건 반대한 민주당 잘못” vs 이재명 “3년간 정부가 더 반대” [21대 대
- 경찰, ‘손흥민 협박녀’ 임신중절 확인…친부 확인은 안 돼
- 바이든 前 美대통령, 전립선암 진단…“이미 뼈까지 전이돼”
- 남기천 우리투자證 대표 “고객과 투자여정 함께하는 증권사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