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친윤’ 비판 정강정책 연설…‘윤 거리두기’ 시동?

김유대 2025. 4. 24. 21:2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대선을 앞두고 방송된 국민의힘 정강·정책 연설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과 친윤계를 겨냥해 날선 비판이 나왔습니다.

국민의힘이 윤 전 대통령과 거리두기에 나서는 것 아니냔 해석이 나옵니다.

김유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국민의힘 싱크탱크 여의도연구원의 윤희숙 원장.

윤 전 대통령 집권 당시 친윤계의 행태를 직격했습니다.

[윤희숙/국민의힘 여의도연구원장 : "대통령의 심기를 살피며 두 명의 당대표를 강제로 끌어내렸고..."]

권력에 줄 선 정치가 계엄과 같은 처참한 결과를 낳았다며 사과했습니다.

[윤희숙/국민의힘 여의도연구원장 : "당이 만만했기 때문에 대통령도 계엄 계획을 당에 사전 통보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사저로 돌아가면서 '이기고 돌아왔다'고 말한 윤 전 대통령을 향해선 답답함을 토로하며 눈시울을 붉히기도 했습니다.

[윤희숙/국민의힘 여의도연구원장 : "무엇을 이겼다는 건지는 모르겠지만 당에 남겨진 것은 깊은 좌절과 국민의 외면뿐입니다."]

당 일각에서 탈당 요구 등은 있었지만, 당의 이름을 건 연설에서 윤 전 대통령 비판이 나온 건 탄핵 이후 처음입니다.

당 지도부와도 연설 방향에 일정 부분 교감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지면서 대선을 앞두고 윤 전 대통령과 거리두기에 시동을 거는거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비판 대상인 친윤계 의원들은 공식 반응을 자제했습니다.

"개인적 견해", "윤 원장이 원래 비판적"이라는 목소리도 있었지만, "나쁘지 않은 쓴소리"라는 긍정적 평가도 나왔습니다.

윤 원장은 잇단 탄핵 등으로 정부를 무력화시킨 야당도 계엄의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며, 차기 대통령은 비정상을 바로잡을 개헌 대통령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김유대입니다.

촬영기자:박장빈/영상편집:고응용/그래픽:이근희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김유대 기자 (ydkim@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