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K] 지자체 빈집 정비 사업…“밑 빠진 독에 물 붓기?”

김현주 2025. 4. 24. 19:2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전주] [앵커]

인구 감소와 인구 고령화, 원도심 공동화 등으로 빈집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지자체마다 정비 사업을 벌이지만, 빈집 증가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도심 빈집 문제,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김현주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전주 원도심 주택가 곳곳에서 빈집이 눈에 띕니다.

벽체는 허물어지고 문은 뜯어져 있습니다.

집 안에는 누가 버리고 갔는지 쓰레기가 가득 쌓여있습니다.

산업단지 근처 주택가에도 흉물스럽게 변한 빈집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인근 주민/음성변조 : "이런 데다가 쓰레기를 던져서 여기가 쓰레기장이 돼버렸어. 여름에는 파리가 많고 여러 가지로 안 좋지."]

전주시는 지난 2008년부터 빈집 철거 비용을 보조해 주차장이나 텃밭 등으로 바꾸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정된 예산 탓에 한 해 평균 10여 채 철거에 그쳐 빈집 증가세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실제 지난해 전주시의 빈집은 2천7백여 채로 5년 전보다 41%, 8백 채 가까이 늘었습니다.

[전주시 관계자/음성변조 : "매년 (신청이) 50~60건은 들어오더라고요. 꽤 많이 들어오는데 한정돼 있다 보니까 좀 다 못 해 드려서…."]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전북 전체 빈집 수는 모두 만 8천3백여 채.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전남 2만여 채에 이어 두번째로 많습니다.

이렇다 보니, 도시 미관 훼손은 물론 범죄나 안전 사고 우려 등 주민 불안도 갈수록 커지는 상황.

전문가들은 공공 차원의 대규모 도시 재생이나 민간에 정비 의무 부여 등 긴급 처방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현주입니다.

촬영기자:이주노

김현주 기자 (thisweek@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