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싱크탱크` 성장과통합 8일 만에 좌초…기획조직이 해산선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의 매머드급 외곽 싱크탱크로 알려졌던 '성장과통합'이 출범 1주일여 만에 좌초 위기를 맞았다.
성장과통합 '기획운영위원회 일동' 명의로 24일 공식 해산 발표가 나왔는데, 유종일·허민 상임공동대표 측이 해산 사실을 부인하며 혼선이 일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공보라인은 "유종일·허민 상임공동대표 입장과 달라" 부인
사전선거운동, 정책공약 혼선, 자리다툼설…당분간 중단
당 정책위 "후보 결정 전 설익은 공약 보도" 경고…明 침묵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의 매머드급 외곽 싱크탱크로 알려졌던 '성장과통합'이 출범 1주일여 만에 좌초 위기를 맞았다. 성장과통합 '기획운영위원회 일동' 명의로 24일 공식 해산 발표가 나왔는데, 유종일·허민 상임공동대표 측이 해산 사실을 부인하며 혼선이 일었다. 민주당 안팎에선 '밥그릇 싸움' 의혹도 일고 있다.
성장과통합 기획운영위(위원장 이현웅) 일동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 "이재명의 싱크탱크로 불렸던 정책자문단 '성장과통합'이 오늘 해산을 발표했다"며 "지난 23일 오전 11시 참석자 전원의 합의로 해체를 결정했음을 알린다"고 밝혔다. 지난 16일 국회에서 성장과통합 출범식을 가진 지 8일 만에 내부 조직에서 해산을 선언한 것이다.
기획위는 "'성장과통합'은 실제적으론 올해 1월부터 대한민국의 위기를 걱정하는 학자와 전문가들이 모여 활발히 활동해 온 것으로 보인다"며 "민주당 및 여당에도 상당한 반향을 일으켰다. 출범식에서 유종일 상임대표가 제안한 345전략·상생금융·탈원전정책 등 다양한 정책 및 방향을 제안해 왔다"고 제3자 화법으로 설명했다.
기획위는 "유 상임대표와 전직 고위관료 및 현장 전문가들로 구성된 위원장과 지도부들은 이재명 후보에게 필요한 성장정책의 신뢰성과 중도확장의 프레임을 확실히 가져다 줬다"면서도 "상당한 성과와 반향에도 특정 후보의 싱크탱크로 타칭되고, '성장과통합'의 일부 인사들이 차기 정부의 특정 자리에 이름이 거론됐다"고 지적했다.
특히 "사전선거운동 시비와 더불어민주당 선대본 활동과 관련한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가 '성장과통합' 기획위의 해산 결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기획위는 해산 선언문에서 "'성장과 통합'은 이념과 진영을 초월해 실용적인 정책과 비전으로 새로운 대한민국을 향한 길잡이가 되고자 지혜를 모아왔다"고 했다.
또 "600여명의 학계·관계·연구기관·기업·시민사회단체 출신 연구자들이 모여 500여개 정책을 준비했다"며 "우리가 품었던 사명은 새로운 형태의 발전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우리는 한 자리에 머무르지 않기로 결단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비록 단체는 해산하지만 우리가 함께 만들었던 가치는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같은 기획위의 해산 발표에도, 성장과통합 공식 공보를 맡은 임병식 대변인은 "성장과통합 해체를 운운하는 보도자료 배포와 관련 유종일·허민 상임공동대표 입장과는 정면 배치됨을 알려드린다"며 "두 상임대표 명의 입장문을 준비 중이다. 정리되는대로 언론인 여러분께 알릴 예정이니 확인되지 않은 문건에 주의를 당부드린다"고 했다.
성장과통합은 2030년까지 △잠재성장률 3% △세계 4대 수출강국 △1인당 국민소득 5만 달러 달성을 목표로 하는 '3·4·5 성장전략'을 발표하기도 했다. 그러나 "'성장과통합'에서 나온 메시지가 마치 이재명 후보 공약에 반영될 것처럼 보도됐다"는 당내 불만이 제기되고 단체 핵심인사들의 차기 정부 요직 내정설이 이는 등 혼선을 키웠다.
당 지도부도 정책 혼선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이날 "(본선)후보가 결정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설익은 정책공약 보도가 쏟아지는 것에 대해 당 내외 우려가 크다"며 "정책위 차원에서 보도경위 등을 철저히 파악하고 재발방지와 반복 시 징계 요구도 검토할 것"을 지시했다. 대선 경선 진행 도중, 미등록 민간단체가 특정 후보를 지지하면 공직선거법 위반 소지가 있다는 지적도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이날 성장과통합 해산설로 혼선이 인 가운데 이 후보는 침묵을 지키는 모양새다.
한기호기자 hkh89@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AI 로봇 아냐?"…비현실적 여대생 미모에 `발칵` 뒤집힌 중국
- 30세에 `자산 2조`…테일러 스위프트 제친 최연소 억만장자 여성의 정체
- "남자만 골라 쐈다" 관광객에 난사, 최소 26명 사망…인도 `경악`
- 음주운전 뒤 달아나 술 마시는 `술타기` 엄벌…`김호중 방지법` 6월 4일 시행
- [속보] `입시비리 혐의` 조민, 2심도 벌금 1000만원 선고…항소 기각
- 바이든 前 美대통령, 전립선암 진단…"뼈까지 전이돼"
- 이르면 20일 한미 관세 실무협의…자동차 등 품목별관세·비관세 조치
- SK오션플랜트, `한미 조선 동맹` 새 강자로 부상
- 美 공화당, 배터리 `세액공제`서 中 뺀다… 韓 입지↑
- 트럼프, "전쟁종식 논의 위해 푸틴과 19일 통화할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