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크림반도 러 편입 거부하는 젤렌스키에 "나라 다 잃을 것"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국 종전안에 반대하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비난했다.
WSJ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전날 회견에서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을 법적으로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며 "논의할 필요조차 없다. 헌법에 위배되는 일"이라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인명 피해를 거론한 뒤 젤렌스키 대통령의 이번 크림반도 관련 발언이 "'킬링필드'(살육의 전쟁터)를 더 장기화할 뿐"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선동적 발언 탓에 전쟁 해결 어려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국 종전안에 반대하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비난했다. 크림반도에 집착하다 결국 나라 전체를 러시아에 빼앗길 것이라고 위협하면서다.
트럼프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한 젤렌스키 대통령의 기자회견 발언을 겨냥해 “평화 협상에 매우 해롭다”고 비판했다. WSJ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전날 회견에서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을 법적으로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며 “논의할 필요조차 없다. 헌법에 위배되는 일”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의 발언이 인기 영합 의도라는 입장이다. 그는 “크림반도는 몇 년 전 버락 후세인 오바마 대통령(오바마 전 대통령을 비하하기 위해 트럼프 대통령이 쓰는 표현)의 보호 아래 잃은 땅이며, 심지어 (평화 협상에서) 논의의 쟁점도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가 크림반도를 원한다면 왜 11년 전에 그들은 (러시아에 맞서) 싸우지 않았는가. 왜 러시아에 (그 땅이) 넘어갈 때 총 한 발 쏘지 않았는가”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젤렌스키가 한 것과 같은 선동적인(inflammatory) 발언으로 인해 전쟁을 해결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는 내세울 게 하나도 없다”고 몰아세웠다.
전쟁 장기화는 우크라이나에 패망의 길이라는 게 트럼프 대통령의 경고다. 그는 “우크라이나 상황은 절망적”이라며 “그(젤렌스키)는 평화를 가질 수 있다. 아니면 3년 더 싸우다 결국 나라 전체를 잃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인명 피해를 거론한 뒤 젤렌스키 대통령의 이번 크림반도 관련 발언이 “‘킬링필드’(살육의 전쟁터)를 더 장기화할 뿐”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외신에 따르면 미국 측의 종전안에는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 인정 △미국의 대(對)러시아 제재 철회 △우크라이나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 배제 등이 포함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합의에 매우 가까이 와 있다”며 젤렌스키 대통령의 입장 변화를 촉구했다.
워싱턴= 권경성 특파원 ficciones@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일본군에 화형 당할 뻔한 강 할머니, 치매 앓는 그에게 딸이 하고 싶은 이야기 | 한국일보
- [단독] 얼굴 사진 현수막, SNS '신상털이'... 판사들 "형사재판 피하게 돼" | 한국일보
- 김준호, 5월 결혼 앞두고 "술 마시면 딸 낳는다고"... 깜짝 발언 | 한국일보
- 건진법사 집에서 발견된 '5000만 원' 신권 다발... 검찰 출처 추적 | 한국일보
- "일 못하고, 나대면 잘린다"… 이재명 '최애' 참모는 쓴소리하는 '위징' | 한국일보
- [단독] 도 넘는 '좌표찍기'… 판사 절반 "외부 압력받았다" | 한국일보
- "尹 고향은 무슨" "李 말로만 사위"... 요동치는 충청 민심 [르포] | 한국일보
- 신정환, 연예인 성 상납 폭로… "사업가가 금액까지 언급" | 한국일보
- 전 축구선수 강지용, '이혼숙려캠프' 출연 두 달 만 사망... 방송분은 비공개 | 한국일보
- "위안소 탈출하려다 밤새도록 맞아" 할머니 입 열게 한 기록자의 노력 | 한국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