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민주화운동기념관 건립에 거는 기대
인천민주화운동기념관 건립 사업에 거는 기대가 자못 크다. 인천시가 수년간 진척되지 않던 기념관 건립을 위해 다시 시동을 걸어 그렇다. 시는 올해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에 '인천민주화운동기념관 건립 기본구상 및 타당성 조사' 용역비 5500만원을 편성할 예정이다. 해당 추경안은 6월 시의회 본회의에서 다뤄진다.
인천은 한국 노동·민주화운동 중심지로 꼽혀온 게 사실이다. 그 중에서도 1987년 6월 민주항쟁의 도화선으로 평가되는 '인천 5·3 민주항쟁'은 대표적 민주화운동이라는 평을 들었다. 시는 그래서 지난 2020년 인천의 민주화운동 역사를 기억하고 그 정신을 계승하려고 인천민주화운동기념관 건립을 추진했다. 하지만 100억여원에 달하는 건립 예산 확보가 걸림돌로 작용했다. 결국 기념관 건립은 물 건너 가는 듯했지만, 시가 분명한 의지를 갖고 재차 벌여서 고무적이다. 지지부진했던 과거를 털고, 미래지향적 건물을 지으리라고 여겨진다.
인천 5·3 민주항쟁은 2023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 개정으로 민주화운동으로서 법적 지위를 얻었다. 따라서 기념관 건립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됐으나, 사업은 제자리 걸음을 면치 못했다. 그동안 지역사회에서는 역사적 의미를 지닌 장소에 기념관을 지어 민주화운동을 기리고 연구·교육 등을 진행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꾸준히 냈다. 지난달 24일 시의회 임시회 본회의에서도 인천민주화운동기념관을 조속히 건립해야 한다고 촉구하는 시정질문이 있었다. 유정복 시장은 민선 8기 시장직 인수위원회에서 "민·관·학 거버넌스를 구성해 기념관 설립 목적과 방향을 도출하겠다"며 "세부 계획을 수립해 차질 없이 기념관을 짓겠다"고 밝힌 바 있다.
아직 기념관 건립 사업 진행 현황이나 공식 계획은 구체화하지 않은 상황이지만, 용역심의위원회를 통과한 뒤 오는 6월 추경안을 통해 예산을 확보하면 결정될 전망이다. 기념관 건립 위치와 규모, 운영 방향 등에 대해선 시와 시민사회의 밀접한 소통으로 이뤄져야 한다. 시가 기념관 건립에 확고한 의지를 품고 있는 만큼, 이번에는 꼭 실현되리라는 관측을 낳는다. 아무쪼록 민주화운동기념관을 하루빨리 건립해 역사적 의미를 되살리는 기회로 삼기를 바란다.
Copyright © 인천일보 All rights reserved - 무단 전재, 복사,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