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수출 주도 성장 한계…EU처럼 韓·日 연합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SK그룹 회장·사진)이 "글로벌 산업 질서 변화로 한국의 상품 수출 중심 성장 모델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며 "한국과 일본의 '경제 공동체' 결성으로 이를 해결하자"고 22일 제안했다.
최 회장은 이날 국회 싱크탱크인 국회미래연구원이 조직한 미래산업포럼에서 한 기조연설을 통해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30년 만에 우리의 수출액은 5.5배 느는 등 성장의 밑거름이 됐지만 상품 수출 중심의 성장 모델은 큰 위협을 받고 있다"며 이같이 진단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역별 '메가 샌드박스' 강조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SK그룹 회장·사진)이 “글로벌 산업 질서 변화로 한국의 상품 수출 중심 성장 모델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며 “한국과 일본의 ‘경제 공동체’ 결성으로 이를 해결하자”고 22일 제안했다. 최 회장은 이날 국회 싱크탱크인 국회미래연구원이 조직한 미래산업포럼에서 한 기조연설을 통해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30년 만에 우리의 수출액은 5.5배 느는 등 성장의 밑거름이 됐지만 상품 수출 중심의 성장 모델은 큰 위협을 받고 있다”며 이같이 진단했다.
그는 “한국과 일본, 두 경제 규모를 합치면 유럽연합(EU) 수준”이라며 “지금은 시장 규모가 큰 미국과 중국이 정하는 국제 질서를 강요받지만, 우리가 만들어갈 수도 있다”고 했다. 이어 “청정수소, 액화천연가스(LNG) 공동구매와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기술, 한국 반도체와 일본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협력 등이 시너지가 나는 분야”라고 설명했다.
최 회장은 또 “시·도별 메가 샌드박스를 도입해야 한다”며 “제주의 경우 면세지역(tax free)으로 정하면 금융산업이 활성화되고, 해외에서 자본을 끌어들일 수 있다”고 말했다.
김형규/사진=강은구 기자 khk@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삼송·노티드 '오픈런' 사라지더니 결국…흔들리는 '스타 빵집'
- "강남 아파트 사려면 이 방법뿐"…'뜻밖의 상황' 벌어졌다
- '순대 한접시 2만5000원' 바가지 논란에…제주시 결국
- "돌이킬 수 없는 이상 현상"…히말라야, 23년 만에 '최악의 상황'
- "일본인 참교육하겠다"…日 뷔페 싹쓸이한 '민폐' 中 인플루언서
- 버핏이 찜한 YG-1 "美 관세는 성장 기회"
- 건강식이라 매일 챙겨 먹었는데…"1급 발암물질 나왔다" 공포
- [단독] '또 깜빡 속았다'…중국산 가짜에 쑥대밭된 한국
- '공인중개사' 힘들게 따면 뭐하나…'국민 자격증'의 눈물
- 80억이던 비·김태희 아파트, 4년 만에 팔린 가격이…'입이 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