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펑크록 대모’ 패티 스미스가 들려주는…인류와 환경, 그 끝나지 않을 대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모든 새들이 노래하고 있었다. 그리고 모든 음표가 무(無)를 낳았다. 모두가 사라졌기에."
개막 날 전시장에서 만난 스미스는 "노래하든, 시를 쓰든, 그림을 그리든 정서적으로 사람들과 소통한다는 측면에선 모두 동일하다"라며 "우리가 세상을 되돌릴 수 있다는 '희망'을 전달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9일 서울 중구 복합문화공간 피크닉에서 개막한 전시 ‘끝나지 않을 대화’에선 1986년 소련에서 발생한 체르노빌 원전 사고를 소재로 한 시 낭송과 함께 한 영상물이 재생됐다. 원전에서 살아남은 아이들의 목소리, 방사능에 오염된 피아노에서 나는 소리 등이 어우러진 ‘체르노빌의 아이들’이란 작품이다.
이 시는 미국에서 재니스 조플린의 후계자로 불렸던 ‘펑크록의 대모’ 패티 스미스가 지은 것이다. 해당 전시는 스미스와 뉴욕, 독일 베를린을 주무대로 활동하는 2인조 그룹 ‘사운드워크 컬렉티브’의 멤버인 스테판 크라스닌스키가 10여 년간 주고받은 편지에서 영감을 얻어 기획됐다.
전시작 중엔 스미스가 태어난 해인 1946년부터 최근까지의 대형 산불을 다룬 ‘산불’이 특히 강렬한 인상을 준다. 20세기 이탈리아 영화 황금기의 대표주자로 꼽히는 피에르 파올로 파솔리니(PPP·1922~1975) 감독의 삶과 미공개 영상을 조명한 ‘파솔리니’, 고대 신화 속 메데이아의 서사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메데이아’ 등도 선보인다.
사지원 기자 4g1@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대법, 이재명 상고심 전원합의체 회부…당일 바로 심리
- “무덤은 장식없이, 묘비엔 이름만…바티칸 외부 성당에 묻어달라”
- ‘尹내란’ 재판, 연말까지 28회…내년초 1심 선고 가능할 듯
- 민주, 탄핵 대상자 선제적 사퇴 금지하는 법안 발의
- [단독]美공군 단 2대 보유한 정찰기 한반도 출격
- 이재명 “공공의대 설립해 의료인력 양성…의대정원 합리화할 것”
- SKT “해킹으로 가입자 유심정보 유출 정황”…당국, 비상대책반 구성
- 한밤 핸들 뽑고 레이싱-광란 드리프트…외국인 등 폭주족 42명 검거
- “챗GPT에 고맙다고 하지마”…‘공손한 사용자’에 샘 올트먼 골치, 왜?
- 5월 2일 임시공휴일?…“6일 황금연휴” vs “장사 도움 안 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