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니스 한국관 30주년…“전시공간 아닌 건축물로서 새롭게 조명”
한국관 예술감독 맡은 CAC
정다영·김희정·정성규 큐레이터
1995년 악조건 속 건립 한국관
가려졌던 건축적 의미 일깨워
건축가·작가 4인의 작품에선
자연과 공존하는 한국관 다뤄
“국가관 지속가능성 탐구 기회”
‘2025 베니스 비엔날레 제19회 국제건축전’ 한국관 전시 예술감독을 맡은 큐레이터 그룹 CAC(큐레이팅 아키텍처 컬렉티브)의 정다영·김희정·정성규는 올해로 건립 30주년을 맞은 한국관의 건축적 가치를 새롭게 조명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두껍아 두껍아: 집의 시간’을 주제로 한국관의 건립 과정을 살펴보고, 베니스 비엔날레 국가관의 건축적 의미와 지속가능성을 탐구한다.
올해 베니스 비엔날레 국제건축전은 ‘인텔리전스: 자연적·인공적·집단적’을 주제로 5월 8~9일 프리뷰를 시작으로 11월 23일까지 6개월간 카스텔로 자르디니 공원에서 개최된다. 기후변화와 지속 가능한 건축, 인공지능(AI) 시대의 건축, 우주 건축 등을 폭 넓게 다룬다. 국가별 전시에는 세계 30여 개국이 참여하고 이 가운데 아제르바이잔, 오만 술탄국, 카타르, 토고 등 4개국은 올해가 첫 참가다.
김희정 큐레이터는 “예를 들면 한국관은 유리창을 통해 전시장 내부로 햇빛이 너무 많이 들어왔기 때문에 과거 전시 때마다 가벽을 세우는 등 수고스러운 일들이 많았다”며 “다른 작품을 전시하는 공간으로 오랜 시간 존재해왔기 때문에 그동안은 단점이 많이 부각됐던 게 사실”이라고 전했다. 이에 CAC는 한국관이 가진 다층적 의미를 살피면서 기존 관점을 뒤집는 데 초점을 맞췄다. 정성규 큐레이터는 “한국관 건립 후 30년이 지난 지금 건축계에서는 자연과 공존하는 지속가능성이 중요한 화두가 됐다. 한국관은 수십 년 전에 지어진 건축물임에도 이 같은 맥락에 잘 맞아 떨어진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고 강조했다.
한국관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함축한 이번 전시는 ‘두껍아 두껍아/헌 집 줄게/새 집 다오’ 구절로 유명한 흙놀이 전래동요를 모티브로 구성됐다. 전시는 크게 두 파트로 나뉜다. 첫 번째 파트에서는 지난 30년의 발자취와 그동안 무대 밖에 존재했던 건축물로서의 한국관을 샅샅이 파헤친다. 작품에 캡션을 붙이듯 한국관 곳곳에 명제표를 설치했고, 주변 수목에도 이름표를 달았다. 실내에는 한국관의 지하, 옥상 등 그동안 드러나지 않았던 공간들이 함께 표시된 건물 모형과 도면 등이 전시된다. 한국관 건축 다큐멘터리 영상도 만나볼 수 있다.
두 번째 파트에서는 CAC 의뢰로 4명의 건축가·작가가 한국관의 아카이브 자료를 바탕으로 작업한 커미션 작품을 펼친다. 건축 설계사무소 아뜰리에 KHJ의 김현종 대표, 스튜디오 히치의 박희찬 디렉터, 플로라앤파우나의 이다미 대표와 독일 예술집단 플라스티크 판타스티크의 양예나 공동 디렉터가 참여했다. 정다영 큐레이터는 “작가들은 공통적으로 물리적인 건축물에서는 보이지 않는 비인간적 요소들을 섬세하게 조명한다. 그러면서 한국관이 자르디니 공원 안에서 주변 자연유산과 공존하고 있다는 점을 상기시켜 준다”고 설명했다.
박희찬은 가변적 설치물과 드로잉으로 구성된 ‘나무의 시간’을 선보인다. 한국관 주변 나무들의 그림자 변화에 반응하는 건축 장치를 기반으로 외부 경관을 한국관 내부로 자연스럽게 끌어들이면서 자르디니 공원의 중요한 유산인 나무를 조명한다. 김현종의 건축 구조물인 ‘새로운 항해’는 한국관 옥상 공간에 설치된다. 다른 국가관의 경우 옥상 공간이 없거나 접근이 제한적이지만 관람객들은 한국관 옥상에 올라가 바다를 향해 편 듯한 돛을 연상시키는 이 작품을 통해 이곳의 모든 국가관들이 공유하는 하늘과 바다를 새삼 바라보게 된다.
한국관은 올해 카타르관 등이 신설되기 전까지 지난 30년 동안 자르디니 공원 내 29개의 베니스 비엔날레 국가관 중 가장 마지막에 들어선 곳이기도 했다. 정성규 큐레이터는 “올해 카타르관이 새로 건립되면서 앞으로 다른 국가관들이 더 들어올 여지가 생긴 것”이라며 “그렇다면 한국관이 과거와 미래를 잇는 존재가 될 수 있고, 이번 전시가 베니스 비엔날레 국가관들의 지속 가능한 미래에 대해 논의해볼 수 있는 하나의 장이 되지 않을까 생각했다”고 말했다. 나아가 이번 한국관 전시는 건축의 생애주기, 즉 시간성에 대해 다각도에서 고찰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란 기대다.
한편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오는 5월 9일 오후 2시(현지 시간)에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전시 공식 개막식을 개최하고, 이어 한국관 건립 30주년을 기념해 한국관의 역사적 의의를 탐구하는 특별 건축 포럼 ‘비전과 유산: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30년’을 개최한다. 아울러 아카이브 자료집 ‘베니스 비엔날레 국제건축전 한국관 1996-2025’도 발간할 예정이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사업가 셋 만난 女연예인”…신정환, 연예계 성상납 폭로 - 매일경제
- “고객님, 냉장고 고장 위험이 있네요”…피싱 문자인 줄 알고 무시했더니 - 매일경제
- 금리 인하기 연 15% 적금?…“선착순 30만명만 받습니다” - 매일경제
- 까끌해도 일부러 챙겨 먹었는데…‘1급 발암물질’ 나온 건강식품 ‘충격’ - 매일경제
- 부산 금정구청장 필리핀 휴가 중 ‘이곳’ 갔다가 구설…어디길래 - 매일경제
- “이재명은 매력적, 홍준표 돈줘도 안만나”…분노한 김부선, 무슨일이 - 매일경제
- [속보]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대법원 전원합의체 회부 - 매일경제
- “월급 좀 올라 좋아했더니”…직장人 1000만명 월급받고 ‘화들짝’ 무슨 일 - 매일경제
- “생방송 중에 거짓말 하시면 안된다”…엄지인, 출연자에 경고한 까닭 - 매일경제
- 김도영 복귀 대망, 하위권 KIA 타선 완전체 전력 갖추고 반전? 기분 좋은 클린업 논쟁 재발 - MK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