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앱, 주빅 등 3개사와 AI 기반 마이크로니들 패치 개발 맞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바이오앱은 주빅, 퍼슨헬스케어, 비앤제이바이오파마와 인공지능(AI) 기반 근감소증 회복을 위한 이리신 마이크로니들 패치 생산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바이오앱 관계자는 "당사를 비롯한 4개 기업은 이번 협약을 통해 근감소증과 같은 노인성 질환의 치료에 기여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새로운 치료 옵션 제공을 통해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며 "해당 기술 개발은 바이오 의료 분야에서 AI, 마이크로니들, 식물유래 치료제의 융합을 통해 혁신적인 신약 개발을 이끌어 나갈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바이오앱은 주빅, 퍼슨헬스케어, 비앤제이바이오파마와 인공지능(AI) 기반 근감소증 회복을 위한 이리신 마이크로니들 패치 생산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한국소재부품장비투자기관협의회(KITIA)가 주관하는 투자연계 연구개발(R&D)사업에 공동으로 지원하면서 향후 다양한 분야의 협력을 위해 체결됐다. 각 기업은 전문 기술과 자원을 결집해 해당 기술 개발에 본격 착수할 계획이다.
바이오앱은 식물기반의 다양한 재조합 단백질 치료제 후보물질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마이크로니들 패치 개발 과정에서 치료제 후보물질을 제공할 예정이다. 주빅은 마이크로니들 생산 기술을 보유한 기업으로, 이번 협업을 통해 혁신적인 바이오 의약품의 전달 기술개발을 담당하게 된다.
퍼슨헬스케어는 마이크로니들 기반 신약 개발 및 생산을 위해 주빅에 전략적투자를 단행했다. 의약품 생산 경험을 바탕으로 마이크로니들 기반 신약의 개발 및 생산을 담당할 예정이다. 비앤제이바이오파마는 마이크로니들 기반 치료제 개발 과정에서 AI기술을 활용해 개발 과정과 인허가 효능 검증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이번 연구개발 과제에는 중앙대학교 약학대학과 한국외국어대학교가 참여해 학계의 지식과 기술도 협력적으로 통합될 예정이다. 양 대학은 과제의 연구 개발을 통해 마이크로니들 기술의 과학적 기초를 더욱 강화하고, 실용적인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바이오앱 관계자는 “당사를 비롯한 4개 기업은 이번 협약을 통해 근감소증과 같은 노인성 질환의 치료에 기여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새로운 치료 옵션 제공을 통해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며 “해당 기술 개발은 바이오 의료 분야에서 AI, 마이크로니들, 식물유래 치료제의 융합을 통해 혁신적인 신약 개발을 이끌어 나갈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용철 기자 jungyc@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LG전자, 전기차 충전기 사업 종료…하이비차저 청산
- [단독]롯데免, 뉴질랜드 웰링턴 면세점 철수…효율화 작업 가속
- '파월 때리는 트럼프' 美 증시 2% 하락 마감...통화정책 불안에 투매
- 金값 고공행진에 차익실현 고금·중고거래까지 불티
- 광주 AI산업 추경 예산 대폭 삭감…AI 생태계 조성 '빨간불'
- 쏘카, 전기차 대여료 60% 할인...내달 6일까지 2주간 이벤트
- 쓰레기에 고통받는 신혼여행 성지 '푸껫'… “하루 쓰레기 1000t”
- 징집병 늘리려 체육관까지... 러시아의 전방위 단속
- “뚱뚱한 사람은 입장료 없어요”… 中 관광지가 내민 이색 혜택
- “70세 우주인 지구로 귀환”…NASA 최고령 우주비행사, 돈 페티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