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도둑'이 '외화도둑'됐다...1분기 김 수출 사상최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 김의 대미, 대중 수출이 호조를 보여 올해 1분기 김 수출액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정부가 2027년까지 목표로 제시한 '연간 10억 달러 김 수출'이 올해 안에 달성될 수 있다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21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김 수출액은 2억8100만달러(4020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2억3200만달러·3320억원)보다 21.1% 증가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 김의 대미, 대중 수출이 호조를 보여 올해 1분기 김 수출액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정부가 2027년까지 목표로 제시한 '연간 10억 달러 김 수출'이 올해 안에 달성될 수 있다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21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김 수출액은 2억8100만달러(4020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2억3200만달러·3320억원)보다 21.1% 증가했다.
수출량은 1만161톤으로, 전년 동기(9456톤) 대비 7.5% 늘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수산업관측센터에 따르면 김 수출액은 1월 7.4%, 2월 52.7%, 3월 10.9%씩 늘어 월별로도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수산업관측센터는 "이달 수출도 대상국의 수요가 높게 유지돼 작년과 평년 같은 달 대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다음 달에도 작년과 평년보다 수출이 느는 상황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1분기 국가별 수출액은 미국이 5790만달러로 가장 많았고 이어 중국(5110만달러), 일본(3440만달러), 태국(3420만달러) 순이었다. 중국은 지난해 동기 대비 86.5% 증가해 가장 큰 폭의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미국은 21.6%, 태국은 15.9%, 일본은 7.2% 각각 늘었다.
중국에 수출된 김 대부분은 마른김이다. 해양수상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중국에 수출된 마른김은 2258톤으로 작년 동기 대비 97.2% 늘었으며, 전체 마른김 수출량의 40.3%를 차지했다. 수출액은 4629만달러로 139.7% 증가했다.
조미김 수출은 미국이 최대 수출국이다. 올해 1분기 미국으로 수출된 조미김은 1367톤으로 전체 조미김 수출량의 30.2%를 차지했고, 수출액도 30.6% 증가했다. 반면 마른김의 대미 수출량은 140톤에 그쳤다.
해수부에 따르면 중국에서는 한국 드라마와 영화의 영향으로 김밥이 유행해 마른김 수요가 급증했지만, 미국에서는 김 스낵이 인기를 끌어 조미김 수출이 크게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해수부가 오는 2027년까지 목표로 제시한 '연 10억 달러 김 수출'을 올해 앞당겨 달성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지난해 김 수출액은 9억9700만달러였다.
김 수출이 호조를 보이고 있는 반면 원재료인 물김 가격은 최근까지 낮은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올해 작황이 좋아진 데다, 해수부의 신규 양식장 허가와 불법 양식 확산 등으로 인해 물김 생산량이 수요를 초과하면서 가격 하락을 불렀다. 지난 1월에는 어민들이 위판하지 못한 물김 약 6000톤을 폐기하는 일도 벌어졌다.
수산업관측센터에 따르면 물김 가격은 1월 kg당 763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52.4% 하락했고 2월(1439원), 3월(1483원)에도 각각 17.5%, 42.0% 낮은 가격을 기록했다.
반면 마른김 가격은 10장당 1353원으로 평년 대비 1.5배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김은 생산량이 급증해 '생산량 1조원 클럽'에 가입했다. 양태용 한국김수출협회 회장은 "30년 전만 하더라도 김을 '검은 종이'라며 꺼리던 외국인들도 이젠 '건강식품'이라며 김을 찾고 있다"며 "김은 비건식품이자 할랄푸드기 때문에 현지에서 거부감이 없는 만큼 인기가 고공 행진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조수아 인턴기자 joshua@hankyung.com
Copyright © 한경비즈니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저도 한때 꽤 큰 개미 중 하나"…이재명, 1400만 개미 표심 잡는다
- 홀트아동복지회, 한국가이드스타 공익법인 평가 ‘4년 연속’ 최고 등급 선정
- 에그드랍, 100% 착즙 ‘리얼 사과주스’, ‘리얼 수박주스’ 신제품 출시
- [속보]홍준표 “노인연령 70세로 상향”
- “트럼프 효과?” 국내 가상자산 시총 100조 돌파
- “어제도 사무실에서 먹었는데”...6개월 만에 또 오른다
- 이재명 “노무현 전 대통령 정치개혁은 제 인생의 전환점"
- No 네트워크! 스마트폰 안에 들어온 AI②[테크트렌드]
- 트럼프 진영의 3대 토대가 흔들린다[한상춘의 국제경제 심층 분석]
- 제21대 대통령 선거일, '택배 없는 날?'…쿠팡, 로켓맨도 투표장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