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반경 3㎞는 생존 건 '기업 전쟁터'[워싱턴 대관 게임②]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백악관과 의회, 국무부, 상무부 등 미국 정가의 핵심 기관들이 밀집해 있는 워싱턴DC 중심부.
이곳 백악관에서 반경 3㎞ 이내에 한국 주요 기업들의 대관 사무소들이 줄지어 가동되고 있다.
19일 재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 SK그룹, LG그룹, 포스코그룹은 미국 워싱턴DC 소재 백악관과 연방정부 주요 기관에서 도보 10분 이내 거리에 대관 사무소를 줄줄이 운영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백악관 반경 3㎞ 내외에 사무소 집중
전직 외교·정치 고위 인사 전면 배치
단순 대관 넘어 전략상황실로 진화
입법 모니터링 등 실시간 대응 강화
정부·기업·단체 연합 전선 본격화
[서울=뉴시스]박현준 이창훈 유희석 기자 = 백악관과 의회, 국무부, 상무부 등 미국 정가의 핵심 기관들이 밀집해 있는 워싱턴DC 중심부. 이곳 백악관에서 반경 3㎞ 이내에 한국 주요 기업들의 대관 사무소들이 줄지어 가동되고 있다.
겉에서 볼 때는 평범한 사무실이지만, 이곳에선 미 의회 입법 대응과 정책 분석, 로비 네트워킹까지, 매일 매일 ‘총성 없는 전쟁’이 치러지고 있다는 평이다.
백악관 중심으로 '도보 10분' 내 사무실 확보
이는 미국 정·관계 인사 접촉과 입법 대응을 염두에 둔 최적의 배치다.
현대차와 포스코는 백악관 라파예트 광장 인근 L 스트리트에, LG와 SK는 백악관 동쪽과 서쪽으로 각각 F 스트리트와 코네티컷 애비뉴에 거점을 확보했다.
이어 삼성그룹은 백악관에서 4㎞ 떨어진 펜실베이니아 애비뉴에 사무소를 가동 중이며, 한화그룹은 방산 중심의 사업 특성상 미 국방부와 국토안보부 건물과 가까운 크리스털 드라이브에 사무소가 있다.
'워룸' 되다시피한 대관 사무소 모습
그만큼 미국 대관업무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커진 것으로 중량급 있는 인물 영입에도 주력하고 있다.
삼성은 마크 리퍼트 전 주한 미국대사를, LG는 백악관 출신 조 헤이긴을, 현대차는 미국 법제처 차관보 출신 로버트 후드를 각각 북미 대관 책임자로 선임했다. 하나 같이 워싱턴 정가에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인물이라는 진단이다.
현대차그룹은 최근 드류 퍼거슨 전 연방 하원의원을 워싱턴사무소장으로 발탁해 내달부터 본격적으로 대관 업무를 총괄한다.
이들은 의원실 방문과 정치자금 행사 참석, 입법안 모니터링, 정무 브리핑 등 다각적인 활동으로 미 의회와 행정부의 흐름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있다.
'정부+기업+단체' 협업 체계도 강화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폭탄 등 통상 정책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개별 기업이 단독으로 협상력을 확보하긴 사실상 힘든 상황이다.
특히 한국 기업들은 철강·자동차를 넘어 반도체, 조선, 에너지, 액화천연가스(LNG) 등으로 대응 범위를 넓히며 미국 정부와 입법부를 상대로 '전면전' 양상으로 뛰고 있다.
한 국내 기업의 워싱턴DC 대관 담당자는 "이제는 정부와 단체, 기업이 자연스럽게 원팀으로 움직이는 구도가 됐다"며 "워싱턴 한복판에서 한국 산업계의 생존을 건 대관 업무가 조용하지만 살벌하게 벌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parkhj@newsis.com, hun88@newsis.com, heesuk@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동건과 이혼' 조윤희, 8살 딸 공개…아이돌 비주얼
- 218㎝ 최홍만 알고 보니 소녀 감성 "지인 90% 여자"
- 허안나, 코 성형 부작용에 재수술 "점점 삐뚤어져"
- 김숙, 암흑기 고백 "줄담배 피우고 24시간 게임"
- "남자를 알려줄게"…70대 노인, 40대 여성에 '섬뜩구애'
- 괴물폭우, 車째로 삼켰다…80대 운전자 사망
- 션 하루종일 32㎞ 배달 뛰었다…수익은 6만3000원
- 삭발·콧수염 사라진 황재근, 훈남 포스…"이렇게 잘 생겼다니"
- 야구방망이 든 사장, 10대 알바생 넘어뜨리고 무차별 폭행
- 생후 두달 아들 굶기고 방치→결국 사망…20대 부모 구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