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 보호 뒷전?…'중복 상장' 우려에 SK엔무브 제동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공모를 통한 기업들의 자금 조달에 속속 제동이 걸리고 있습니다.
SK이노베이션의 자회사 SK엔무브 역시 한국거래소와의 상장 협의 단계에서 주주보호 방안을 마련하라는 요청을 받았는데요.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신성우 기자, 한국거래소가 구체적으로 SK엔무브에 어떤 방안을 요구했습니까?
[기자]
한국거래소는 IPO, 기업공개를 준비하는 SK엔무브에 중복상장에 대한 우려를 전달했습니다.
상장을 원하는 회사는 상장 심사 신청 전 한국거래소와 절차, 시기 등에 대해 사전 협의를 하게 되어 있는데요.
이 과정에서 한국거래소가 SK엔무브에 주주 보호 방안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밝힌 것입니다.
SK엔무브는 모회사인 상장사 SK이노베이션이 지분 70%를 보유하고 있는데요.
이에 SK엔무브가 상장될 경우 중복상장에 따른 SK이노베이션 지분 희석이 발생한다는 시장의 우려가 큽니다.
아직 정식 상장 심사에 돌입한 것은 아니지만, 한국거래소에서 제동을 건 만큼 주주보호 및 중복상장 우려에 대한 SK엔무브의 보완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앵커]
자금 조달에 제동이 걸린 곳은 SK엔무브뿐만이 아니죠?
[기자]
금융감독원은 어제(17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유상증자 신고서 2차 정정을 요구했습니다.
앞서 금감원은 투자자를 위한 정보 기재가 미흡하다는 이유로 유상증자에 대해 1차 정정을 요구한 바 있는데요.
이후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유상증자 규모를 3조 6000억 원에서 2조 3000억 원으로 대폭 줄였음에도 2차로 유상증자에 제동을 건 것입니다.
금융당국이 '밸류업' 기조 속 투자자 보호에 나서는 모양새인데요.
필요한 조치라곤 하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자금 조달에 난항을 겪을 전망입니다.
SBS Biz 신성우입니다.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