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형 전 감사원장 "타협·상생 손 내미는 쪽이 국민 지지 얻을 것"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누구든 먼저 타협과 상생의 손을 내미는 쪽이 국민 지지를 얻을 것입니다."
최재형 전 감사원장은 18일 아시아경제와 인터뷰에서 "여야를 막론하고 대화와 타협, 양보보다는 강성지지층 지지를 정치적 자산으로 삼아 자신의 입지를 강화하려는 정치인들이 많아졌다"며 이같이 말했다.
최 전 원장은 12·3 비상계엄 사태를 계기로 분열이 심화한 데 대해 "국가의 미래를 강성 지지층 환호와 맞바꿨다는 비판으로부터 얼마나 자유로울 수 있겠냐"고 반문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누구든 먼저 타협과 상생의 손을 내미는 쪽이 국민 지지를 얻을 것입니다."
최재형 전 감사원장은 18일 아시아경제와 인터뷰에서 "여야를 막론하고 대화와 타협, 양보보다는 강성지지층 지지를 정치적 자산으로 삼아 자신의 입지를 강화하려는 정치인들이 많아졌다"며 이같이 말했다.
최 전 원장은 12·3 비상계엄 사태를 계기로 분열이 심화한 데 대해 "국가의 미래를 강성 지지층 환호와 맞바꿨다는 비판으로부터 얼마나 자유로울 수 있겠냐"고 반문했다. 최 전 원장은 "미국 관세전쟁으로 국내외 상황이 엄중한 상황에서 국내 정치권은 오히려 위기극복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이후에도 혼란이 지속되는 원인은 무엇인가.
▲상대방을 정치 파트너가 아닌 타도와 증오의 대상으로 보고 심지어 악마화하면서 각 진영 강성지지층의 지지를 강화해 나가는 것을 정치적 전략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상대방을 악마화하면 거기에는 정당한 비판도, 대화나 타협도 없게 된다. 정치가 실종되고, 사회는 양극화를 넘어 붕괴의 위기를 맞게 된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 캠프에 공동선대위원장으로 합류했는데.
▲대선에서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맞서 가장 경쟁력 있는 후보가 누구일까 생각했다. 비상계엄 당시 정치적 혼란 상황에서 한 후보는 당 대표로서 입장을 분명히 했고, 국민 상식에 맞는 결정이라고 봤다. 탄핵 정국 이후 국민의힘의 새로운 시작은 바로 반성에서 출발해야 한다. 한 후보가 현 상황에 대한 철저한 반성과 범보수를 아우를 수 있는 통합의 정치, 미래를 얘기할 수 있는 적임자라고 생각했다.
-범보수 통합을 제안했는데.
▲이재명 전 대표를 제외한 모든 범보수 진영 인사들을 아우르는 국민경선을 통해 진정한 단일 후보를 세워야 한다. 설사 한 후보가 단일 후보가 되지 않더라도 범보수 후보 단일화가 필요하다. 이번 대선은 양극단 정치와 결별하는 정치교체의 출발점이 돼야 한다.
-'한덕수 대망론'이 꺼지지 않고 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가 고민을 많이 하겠지만, 권한대행으로서 선거 관리와 다음 정부 출범식까지 국가적인 위기관리가 우선이라는 생각을 충분히 하실 것으로 생각한다.
-감사원을 독립헌법기구로 분리하는 방안은 어떻게 생각하나.
▲회계검사권한과 직무감찰 권한을 동시에 갖는 감사기구를 가진 나라가 많지 않고, 대통령 소속으로 하는 나라는 소수다. 헌법상 독립기구가 바람직하다고 본다.
서소정 기자 ssj@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제 남은 건 물류센터 뿐"…'월급 469만원' 공장·건설현장서 밀려나는 韓 청년들 - 아시아경제
- "도경완처럼 못 살아" 비하 발언 논란에 김진웅 사과 - 아시아경제
- "한 달 35만원 부담되지만 소외되긴 싫어"…'우정 모임비'에 美 Z세대 '한숨' - 아시아경제
- 음식도 운동도 아니었다…세계 최고령 116세 할머니 장수 비결은 - 아시아경제
- '할아버지 된 27세'…月235만원 벌며 11명 대가족 꾸리고 사는 남성 정체 - 아시아경제
- "너무 비싸"…찜통 더위에 달궈진 '국민 횟감' 가격 - 아시아경제
- 7000m 고산에 고립된 등반가 구조하려다…헬기 파손되고 구조대 숨져 - 아시아경제
- 직장인 10명 중 7명 "'여성신체 발언' 이준석 징계 필요" - 아시아경제
- "대충 쓱싹했다간 큰일"…'세균 득실' 휴대폰 청소, 제일 먼저 할 일은? - 아시아경제
- "꿈의 직장은 무슨…연봉 낮아서 안 해요" 4년 만에 반토막 난 공시족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