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문디 “韓 투자자 8%만 조기은퇴 확신... 亞 평균에 크게 뒤처져”

정재원 기자(jeong.jaewon@mk.co.kr) 2025. 4. 17. 11:2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투자를 통해 편안한 은퇴를 갈망하는 국내 투자자 비율은 높지만, 본인이 올바른 투자를 내리고 있다고 확신하는 투자자 비율은 아시아 평균보다 크게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한국 투자자의 8%만이 조기은퇴를 확신해 아시아 평균인 21%에 크게 뒤처졌다.

반면 조기 은퇴를 확신하는 국내 투자자 비율은 8%에 불과해, 아시아 평균(21%)을 크게 밑돌았다.

자신의 투자 결정이 올바르다고 확신하는 국내 투자자 비율은 44%로, 아시아 평균(66%)에 비해 1.5배 낮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외국보다 은퇴 열망 강한 韓 투자자
10분의 9는 “조기은퇴 불확실”
투자 결정에 확신 없는 응답자가 과반
디지털 투자 지수는 25개국 中 4위
아문디자산운용.
투자를 통해 편안한 은퇴를 갈망하는 국내 투자자 비율은 높지만, 본인이 올바른 투자를 내리고 있다고 확신하는 투자자 비율은 아시아 평균보다 크게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한국 투자자의 8%만이 조기은퇴를 확신해 아시아 평균인 21%에 크게 뒤처졌다.

17일 유럽 최대 자산운용사인 아문디는 25개국 1만1000명의 개인투자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설문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 중 ‘편안한 은퇴·장기적 재정 안정’을 위해 투자에 나섰다는 응답자는 52%에 달해, 아시아 평균(45%)을 웃돌았다.

반면 조기 은퇴를 확신하는 국내 투자자 비율은 8%에 불과해, 아시아 평균(21%)을 크게 밑돌았다.

국내 투자자들의 투자 의사결정 자신감이 떨어지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자신의 투자 결정이 올바르다고 확신하는 국내 투자자 비율은 44%로, 아시아 평균(66%)에 비해 1.5배 낮았다.

국내 투자자들이 투자에 제약받는 요인으로는 ‘돈을 충분히 벌지 못함(37%)’, ‘손실 위험을 감수할 여유가 없음(33%)’ 등의 답변이 제시됐다.

전 세계적으로 실시된 이번 설문조사에서 은퇴를 목표로 투자하는 글로벌 투자자 비율은 41%로 집계됐다.

글로벌 투자자의 73%가 TV, 블로그, SNS 등 디지털 수단을 통해 투자 정보를 찾았다. 이들에게 영향력 있는 SNS로는 유튜브(72%), 인스타그램(49%), 페이스북(46%)이 꼽혔다.

유럽 투자자나 50대 투자자는 디지털 인플루언서에게 의존하지 않는 경향이 있었으며, 디지털 인플루언서에게 의존하는 투자자의 58%는 가상자산(암호화폐)을 보유했다.

국내 투자자의 암호화폐 보유자 비율은 24%로, 아시아 평균(17%)보다 높았다.

한편, 국내 투자자들은 글로벌 평균보다 디지털 투자에 친화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국내 투자자들의 89%가 디지털 채널을 통해 투자하고 있어, 디지털 투자 글로벌 지수(DIGI)에서 전 세계 4위에 올랐다. 전 세계 평균은 77%였다.

핀란드, 브라질, 스웨덴은 한국보다 DIGI 순위가 높았고 프랑스, 일본, 태국은 한국보다 순위가 낮았다.

전 세계 적을 모든 연령대에서 디지털 투자플랫폼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특히 50대 응답자의 3분의 2 이상이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했다.

아문디는 “지속적인 기술 발전과 세대 간 변화로 인해 디지털 투자는 뉴노멀이 됐다”고 평가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