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스트레스] 파월 “관세, 인플레 유발…통화정책 조정은 아직”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을 간접적으로 비판하면서 곧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AP통신에 따르면 파월 의장은 16일(현지시간)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열린 이코노믹클럽 연설을 통해 "관세 인상 수준이 예상보다 훨씬 높다"며 "이는 일시적으로 물가를 높일 가능성이 크다. 혹은 더 오래 지속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을 간접적으로 비판하면서 곧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AP통신에 따르면 파월 의장은 16일(현지시간)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열린 이코노믹클럽 연설을 통해 “관세 인상 수준이 예상보다 훨씬 높다”며 “이는 일시적으로 물가를 높일 가능성이 크다. 혹은 더 오래 지속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현재로서 우리는 어떤 입장을 밝히기 전에 (트럼프 2기 행정부의)정책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수집해야한다고 생각한다”며 “아직까지 정책이 변동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미국의 경제는 매우 불확실한 상태다”고 덧붙였다. 관세와 이민 등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변동되지 않을 때까지 통화정책을 조정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파월 의장은 물가 상승률이 2022년에 비해 크게 완화됐다고 강조하면서도 연준의 목표치인 2%는 여전히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의 경제 성장은 지난해보다 둔화했다"며 "자동차 판매는 늘어났으나 전체 소비 증가는 미미한 수준이다"고 평가했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럼프 스트레스] “美∙日 관세협상에 직접 참석”…방위비 의제도 언급
- [트럼프 스트레스] 美 “중국 관세율 최대 245%”...中 “웃기는 일”
- [트럼프 스트레스] 美 “공은 中 코트에…우리돈 가지려면 협상하라”
- [트럼프 스트레스] 미중 무역갈등 확산에 코스피 2440대 하락
- 美 트럼프, 약가 인하 추진…K-바이오시밀러 '호재'
- 국민의힘 "與 '3대 특검 대응특위' 출범해 야당 압박…일당독재"
- 장동혁 "관세협상 시한 이틀 앞인데…李대통령 모습 보이지 않아"
- 전쟁기념관 찾은 김문수 "이재명 정부 핵심, 반미주의자"
- [한국형 공포물이 보고싶다②] 왜 여름에도 궁금하지 않을까
- 유럽 도전 미룬 전진우, EPL 명문 뉴캐슬 상대로 눈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