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집착은 1980년대 엔저 기억 탓… 맨해튼 빌딩 줄매각 보며 ‘불공정무역’ 신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다른 나라들이 미국을 갈취(Rip off)하고 있다."
1987년 미 뉴욕 맨해튼 부동산 개발업자였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CNN에 출연해 미국이 일본에 이용당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1986년에는 미일 반도체 협정을 통해 일본 반도체 가격을 통제했고, 1989년 미국의 무역법인 '슈퍼 301조'로 일본 전자제품과 자동차 부품 등에 100% 관세를 부과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레이건 ‘플라자 합의’ 성공 지켜봐
트럼프, 관세-환율전쟁 강한 집착
1987년 미 뉴욕 맨해튼 부동산 개발업자였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CNN에 출연해 미국이 일본에 이용당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BBC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에 대한 집착은 40여 년 전 일본의 자동차, TV 공습이 한창이던 1980년대부터 생겨났다. 일본의 넘치는 돈이 뉴욕 록펠러센터를 비롯한 랜드마크 빌딩을 접수하는 것을 현장에서 지켜보며 ‘불공정 무역론’이 신념이 됐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일본에서 중국으로 타깃이 옮겨갔을 뿐, 1980년대 미일 무역 전쟁에서 사용된 환율과 관세 전쟁이 이번 미중 갈등에서도 표면화될 것이라고 본다. 당시 일본은 전자제품, 자동차를 대량 수출해 미국 산업을 뒤흔들었지만 미국은 고금리로 ‘강달러’가 지속됐고, 이는 미국의 수출 경쟁력을 약화시켰다. 특히 일본과의 무역 불균형은 심각했는데, 미국의 대(對)일 무역적자는 1980년 100억 달러에서 5년 만인 1985년 460억 달러로 4배 이상으로 늘어났다.
이에 1985년 미국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는 일본과 당시 서독 화폐 가치는 올리고, 달러화 가치는 내리는 역사적인 ‘플라자 합의’에 나섰다. 1986년에는 미일 반도체 협정을 통해 일본 반도체 가격을 통제했고, 1989년 미국의 무역법인 ‘슈퍼 301조’로 일본 전자제품과 자동차 부품 등에 100% 관세를 부과했다. 수개월 후 일본 시장 개방을 조건으로 결국 관세는 풀었지만 일본은 엔화 절상과 버블 경제가 함께 터지며 ‘잃어버린 30년’으로 들어서게 됐다. 반면 미국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산업 주도권을 통해 경제 대국으로 더욱 성장했고 경제 패권을 지켰다.
레이건 행정부의 일본에 대한 관세 및 환율 공격의 ‘성공’을 지켜본 트럼프 대통령이 고율 관세와 더불어 환율 전쟁을 시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배경이다. 다만 1980년대와 달리 중국 주요 수출품이 미국 기업의 현지 생산이라는 점이 발목을 잡고 있다. 조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트럼프 1기 정권을 이미 경험한 중국은 ‘(중간선거 전) 2년만 버티면 된다’는 자신감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세종=김수현 기자 newsoo@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민주 3명-국힘 8명… ‘경선 링’ 열렸다
- [이진영 칼럼]여전히 미덥잖은 이재명
- [단독]“이재명 집권땐 주민센터 등 주상복합 개발, 국민 원하는 곳에 주택 공급”
- [단독]검찰, 건진 尹정부 인사 개입 정황 포착… 윤한홍에 “인사 살펴달라”
- [단독]관세협상 재촉하는 美 “먼저하면 유리”… 한국 등 5개국 최우선 협상 대상 지목
- 노인고립 막고, 대학 살며 청년과 교류… 초고령 사회 주거 대안 ‘UBRC’가 뜬다
- [단독]年1000만 몰리는 야구장, 안전은 ‘파울 플레이’… 저가계약 만연
- 트럼프판 플라자 합의, 弱달러로 적자 해결 ‘마러라고 합의’ 노릴듯
- [오늘과 내일/장원재]여전히 풍차와 싸우는 사람들
- [단독]고용부, ‘신안산선 붕괴사고’ 8시간전 작업중지 권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