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교역 사실상 스톱… 해운업계도 ‘관세 불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전쟁이 격화하면서 양국 간 교역이 사실상 중단 상태에 접어들었다.
값싼 노동력을 활용한 '메이드 인 차이나' 제품이 미국 정부의 관세 장벽을 넘지 못하면서 중국 공급망을 활용하던 미국 내 중소기업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13일(현지 시간) 미국 경제전문매체 CNBC는 중국에 대한 관세 폭탄이 미국 내 기업들에도 치명적인 피해를 입히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美운송업체 “中비즈니스 중단 상태”
컨테이너선 공급도 늘어 하락 부채질
“동남아-유럽 노선 늘어날 가능성에… 한국 업계는 영향 적을수도” 분석도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전쟁이 격화하면서 양국 간 교역이 사실상 중단 상태에 접어들었다. 값싼 노동력을 활용한 ‘메이드 인 차이나’ 제품이 미국 정부의 관세 장벽을 넘지 못하면서 중국 공급망을 활용하던 미국 내 중소기업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양국 간 교역량 감소는 전 세계 물동량 감소로 이어지며 해운 운임마저 떨어지고 있다. 해운 운임 하락은 전 세계 해운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어 HMM 등 국내 해운업계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13일(현지 시간) 미국 경제전문매체 CNBC는 중국에 대한 관세 폭탄이 미국 내 기업들에도 치명적인 피해를 입히고 있다고 진단했다. 미국은 수입산 중국 제품에 145%에 이르는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고 중국은 미국산 수입 제품에 125% 관세를 부과하며 맞대응에 나섰다.
글로벌 공급망 시장 분석 및 자문서비스 기업인 시-인텔리전스(Sea-Intelligence)의 앨런 머피 최고경영자(CEO)는 “미국 수입업체가 중국산 가구 주문을 전면 중단했고 장난감, 의류, 신발, 스포츠 용품도 수입을 중단했다”고 했다. 해상 운송업체 OL USA의 앨런 베어 CEO도 “중국 관련된 비즈니스는 거의 모두 중단된 상태”라고 했다. 스티븐 러마 미 의류·신발 협회(AAFA) CEO는 “높은 관세와 갑작스러운 정책 변화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가장 심각한 공급망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며 “관세가 너무 높아 기업들은 주문을 취소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미중 관세전쟁으로 인한 불똥은 해운업계로 옮겨붙었다. 세계 최대 해상 물동량을 처리하는 미국과 중국의 교역 중단으로 전 세계 물동량이 줄면서 운임이 하락하고 있는 것이다.
글로벌 해운운임은 미중 관세전쟁 이전부터 하락세를 보였다. 팬데믹 시기 발주된 컨테이너 선박이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시장에 쏟아지며 선복량(적재 능력) 공급 과잉 상태가 이어지는 데다 홍해 봉쇄 사태가 풀리면서 수에즈 운하 재개통 기대감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최근 해운 운임 하락은 여러 복합적인 요인으로 하락 추세에 있다”며 “이스라엘 전쟁 소강상태, 미중 갈등이 해운 운임 하락을 부채질하고 있다”고 했다.
일각에선 미중 관세전쟁으로 줄어드는 중국의 대미 수출물량이 동남아나 유럽 등으로 흘러갈 경우 국내 해운업에는 이익이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국내 해운사의 주력 노선이 미주 노선보다는 동남아 노선에 집중돼 있어 미국의 대중국 관세 부과가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김형민 기자 kalssam35@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국힘 후보등록 첫날, 반탄 주자들이 쏘아올린 ‘反明 빅텐트’
- [사설]“메시지 계엄” “담 넘은 건 쇼”… 첫 공판부터 ‘억지’ 일관한 尹
- 尹 “계엄은 늘 준비해야 되는것” 檢 “국헌문란 목적 폭동”
- 이재명 “AI에 100조 투자”… AI 기본사회 첫 공약 발표
- 국힘 후보등록 첫날, 반탄 주자들이 쏘아올린 ‘反이재명 빅텐트’
- 韓대행 “국무위원들과 마지막 소명 다할것”
- 국힘 “주 4.5일제 공약 추진… 주 52시간제는 폐지”
- ‘어대명 룰’ 확정에… 김두관 “경선 거부” 김동연 “원칙 파괴”
- “내란당 해산” “야, 조용히 해!” 몸싸움 직전까지 간 대정부질문
- 주진우 “한덕수 흔들기 중단해야…6·3·3 원칙 이재명에 예외 아냐” [정치를 부탁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