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경원 “北 주장” 김경수 “색깔론”…정치권 연방제 공방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더불어민주당 대선 주자인 김 전 지사가 13일 출마 선언을 하면서 연방제 수준의 자치분권 실현을 공약하자, 국민의힘 주자인 나 의원은 고려연방제와의 연관성을 제기하며 공세에 나섰다.
고려연방제는 북한이 남북 통일을 위해 주장했던 정치적 모델로, 김 전 지사의 연방제 수준 자치분권 구상이 이를 연상시킨다는 것이 나 의원의 주장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羅 “김일성 고려연방제와 맥 같아”
“북한 김일성이 주장했던 ‘고려연방제’와 맥을 같이 하는 주장이다.”(국민의힘 나경원 의원)
김 전 지사는 연방제를 도입한 미국과 독일을 거론하며 “연방제 단어만 보면 일단 색깔론부터 꺼내 뒤집어씌우려 드는 게 마치 종소리만 울리면 침부터 흘리는 파블로프의 개가 생각난다”고 맞받았다. 경남지사 시절부터 부·울·경(부산·울산·경남) 메가시티 구상을 밝혀온 김 전 지사의 공약 핵심은 행정수도를 세종으로 이전하고, 중앙정부의 권한을 지방정부에 대폭 이양해 자율권을 보장하자는 것이다.
사실 연방제 수준의 자치분권 필요성은 보수 진영에서도 꾸준히 제기돼 왔다. 한나라당(현 국민의힘) 이회창 전 총재도 17대 대선에서 실질적 지방분권을 골자로 한 ‘강소국 연방제’를 공약했다. 이 전 총재는 당시 “지방정부가 실질적 권한과 기능을 갖고 자립적으로 발전을 도모해 세계 속의 지역으로 부상하는 국가 대개조가 필요하다”며 우리나라를 싱가포르나 핀란드 같은 강소국 5∼6개로 구성된 연방국가로 만들자는 구상을 밝혔다. 지방정부에 입법·사법·행정 권한을 대폭 부여해 자치분권을 극대화하자는 취지였다.
한국외대 전학선 교수(법학)는 “연방제 수준 자치분권을 하자는 김 전 지사의 말은 그 정도로 강하게 지방분권을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전남대 김호균 교수(행정학)는 “김 전 지사 전에도 학자들이 과거부터 많이 이야기해 온 주제”라며 “세계 10위권 경제 선진국이라면 거버넌스 구조를 지방분권형으로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한양대 김태윤 교수(〃)는 “연방제 주장은 단순한 정치적 언사로 판단한다”고 했다.
배민영·채명준 기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야구선수 출신’ 아빠 야구방망이에 온몸 멍든 채 숨진 11살
- 일부러 챙겨 먹었는데…1급 발암물질 검출된 건강식품 대명사
- “왜 죽었지” 오열하던 남편…신혼 아내 살해한 범인이었다
- 은지원, 숨겨진 가정사 고백 “아버지 살아생전 겸상도 안 했다”
- “밤에 2번 이상 깨면 위험 신호?…‘이것’ 때문이었다”
- 18만원이 없어서 군대 면제받았는데 지금은 연 55억 버는 男배우
- 13년 만에 밝힌 진실…오정연·서장훈이 직접 공개한 두 사람의 이혼 사유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
- 예비신랑과 성관계 2번 만에 성병 감염…“지금도 손이 떨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