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디스플레이 수출 회복세에 3월 ICT 수출 206억 달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달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수출액은 200억 달러를 넘어서며 지난해 같은 달보다 10% 가까이 증가했다.
1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3월 ICT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ICT 수출액은 205억8000만 달러로 2024년 3월보다 9.4% 증가했다.
디스플레이 수출액은 16억4000만 달러였는데, 휴대전화 신제품 출시 등 ICT 전방산업의 수요 확대와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에 대비한 전방기업들의 재고 확보로 수출액이 8개월 만에 1.3% 증가세로 전환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사저널=정혜아 객원기자)
지난달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수출액은 200억 달러를 넘어서며 지난해 같은 달보다 10% 가까이 증가했다.
1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3월 ICT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ICT 수출액은 205억8000만 달러로 2024년 3월보다 9.4% 증가했다. 반도체(11.8%), 디스플레이(1.3%), 휴대전화(14.5%), 컴퓨터·주변기기(28.1%) 등 주요 품목 수출액이 전반적으로 전년 동월에 비해 증가했다.
반도체는 메모리 반도체 수요 기업의 재고 감소와 고대역폭 메모리(HBM), DDR5 등 고부가가치를 내는 인공지능(AI) 메모리 반도체 수요가 늘면서 수출이 회복됐다. 메모리 반도체 수출액은 88억2000만 달러로 18.4% 증가했지만, 시스템 반도체 수출액은 37억4000만 달러로 1.5% 감소했다. 파운드리(위탁생산) 수출액은 증가했지만 팹리스, 패키징 등 후공정 물량 감소에 따른 것이다.
디스플레이 수출액은 16억4000만 달러였는데, 휴대전화 신제품 출시 등 ICT 전방산업의 수요 확대와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에 대비한 전방기업들의 재고 확보로 수출액이 8개월 만에 1.3% 증가세로 전환했다.
휴대전화는 중국, 베트남 등 주요 스마트폰 생산 기지로 부품 수출이 23.7% 늘며 전체 수출액이 10억 달러, 14.5% 증가를 기록했다. 과기정통부는 시장조사업체 옴디아 자료를 인용해 지난 1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출하량 점유율에서 삼성전자가 19.3%로 애플(17.2%), 샤오미(14.6%)를 누르고 1위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다만, 1분기 신제품을 발표하고 점유율 1위를 차지해온 삼성전자가 해당 분기 2위 애플과 벌린 격차가 지난해 3.2%포인트(p), 3위 샤오미와 6.5%p에서 각각 2.1%p, 4.7%p로 줄었다.
지난달 컴퓨터·주변기기 수출액은 13억1000만 달러로 미국, 유럽연합(EU) 등의 서버·데이터센터 투자 확대에 따른 저장장치 수요 증가로 28.1% 늘었다. AI 데이터 센터의 저장장치에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SSD) 수출액이 43.4% 늘며 수출을 견인했다. SSD 수출액 증가는 15개월 연속이다.
통신 장비 수출액은 2억2000만 달러로 베트남 무선통신 장치 공급 감소 여파로 0.4% 줄었다.
지난달 ICT 수입은 122억1000만 달러로 지난해 3월보다 6.8% 늘었다. ICT 수입의 30.4%를 차지한 시스템 반도체 수입액이 최근 AI 가속기 도입과 관련한 첨단패키징 물량 증가에 따라 전년 동월 대비 23.1% 늘어난 영향이다.
3월 무역 수지는 83억7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Copyright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문수 회고록’ 나온다…‘노동 운동’부터 ‘계엄 반대’까지 가치관 담겨 - 시사저널
- 바둑판의 전설, 이기고 지는 데 도리 없는 《승부》 - 시사저널
- [강준만 시론] 윤석열, 왜 자폭했을까? 그가 역사에서 살아남는 법 - 시사저널
- 김용빈 “저에게 모든 걸 쏟으신 할머니 위해 노래 부른다” - 시사저널
- 가족을 욕정의 제물로 삼은 광기의 연쇄살인마 [정락인의 사건 속으로] - 시사저널
- [단독] 尹 지지자 주축된 ‘국민수사대’, 민주당발 가짜뉴스 언중위 제소한다 - 시사저널
- 이치로가 우상이지만, 이정후는 그와 가는 길이 다르다 - 시사저널
- 활동 중단에 ‘혐한’ 인터뷰까지…뉴진스의 행보 괜찮나 - 시사저널
- ‘장구의 신’ 박서진 “《현역가왕2》 우승 순간, ‘큰일 났다’ 생각” - 시사저널
- “10분 늦을 때마다 10만원씩 이자가 더 쌓입니다” - 시사저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