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한길 "대선, 보수 우파 승리만이 국가·국민 사는 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사 강사 전한길씨가 오는 6월3일 치러지는 대통령 선거를 두고 "보수 우파 대선 승리만이 국가와 국민이 사는 길"이라고 했다.
전 씨는 "보수 우파 대선 승리만이 자유민주주의 수호, 법치·공정·상식을 지키는 길이고, 국가와 국민이 사는 길이고, 윤석열 전 대통령이 그나마 다시 사는 길"이라며 "그리고 더불어고발당으로부터 3번 고발당한 전한길이 사는 길 아니겠나"라고 주장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시스]홍주석 인턴 기자 = 한국사 강사 전한길씨가 오는 6월3일 치러지는 대통령 선거를 두고 "보수 우파 대선 승리만이 국가와 국민이 사는 길"이라고 했다.
12일 전 씨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지금 당장 코앞으로 다가온 대선에서 '보수 우파 승리'만을 목표로 삼아서 나아가자"고 글을 올렸다.
전 씨는 "보수 우파 대선 승리만이 자유민주주의 수호, 법치·공정·상식을 지키는 길이고, 국가와 국민이 사는 길이고, 윤석열 전 대통령이 그나마 다시 사는 길"이라며 "그리고 더불어고발당으로부터 3번 고발당한 전한길이 사는 길 아니겠나"라고 주장했다.
그는 "일단 자유 보수 우파 경선 중에도 서로 분열을 막아내고, 본선 가서 똘똘 뭉쳐서 모두 하나 되어 좌파 집권 만큼은 목숨 걸고 막아야 할 것"이라며 "일제 강점기 때는 고문 당하면서도 독립운동했는데, 자유민주주의 지키고자 싸우다가 죽으면 위대한 죽음 아니겠는가"라고 강조했다.
이어 "전한길 인생 54년, 이만큼 살았으면 조선 시대면 장수한 것이다. 세종대왕 53세, 정조 48세"라며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을 위해 목숨 걸고 싸워서 반드시 이기자. 어제와 그제 대통령께도 약속했다. '대선 승리해서 반드시 윤 전 대통령 명예 되찾아드리겠다고, 53일만 기다려 달라고'"라고 덧붙였다.
전 씨는 윤 전 대통령이 한남동 대통령 관저를 떠나 886일 만에 서초동 아크로비스타 자택으로 복귀한 것을 두고 "큰 충격적인 테러를 당한 날"이라며 글을 이어갔다.
그는 "한미동맹, 법치, 공정, 상식 통한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외쳤던 우리의 윤석열 대통령께서 불의하고 불법적이고 정치적으로 편향되고 재판 거래를 자백한 헌재를 비롯한 너무도 깊이 똬리를 틀고 있는 거대한 기득권 카르텔에 테러를 당하셔서, 결국 관저를 떠나 사저로 쫓겨온 날"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이어 "헌법 제77조에 보장된 대통령의 고유 권한인 비상계엄인데…야당과 언론에서는 내란이라고 덮어씌우고 있지만 단 한 사람의 부상자와 희생자도 없이 2시간 만에 계엄이 해제됐다"며 "오로지 더불어민주당의 22번의 탄핵, 일방적 예산 삭감을 통한 행정부 마비 등 반국가 세력 행위를 척결하고자 한 '대국민 호소용' 비상계엄이었다는 것이 상식을 가진 모든 국민의 뜻인데도 불구하고…(탄핵당했다)"라고 덧붙였다.
또 "결국 대통령께서는 저들의 거대한 기득권 카르텔을 이기지 못하고 결국 사저로 쫓겨온 것"이라며 "이런 부정과 불의를 보고도 나는 침묵할 것인가? 나는 무엇을 할 것인가?"라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useok@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우지현, 이태경과 결혼…'야당' 망나니 재벌
- 윤현민 "어머니 두분"…가정사 고백
- 송일국 삼둥이 180㎝ 폭풍성장…판사母 닮아 훈훈
- 김혜은 "가부장적 치과의사 남편, 8차선 대로변서 무릎 꿇으라고"
- 율희, 이혼 후 심정 고백 "'아이들 버린 엄마' 프레임 씌워져"
- "성관계하면 월 1000만원 준다"…80대男, 황당한 가사도우미 구인
- "서로 사랑했다"…초등생 제자 9차례 성폭행한 女교사, 출산까지 '충격'
- 이다해, 행주로 세븐 때렸다가 사과…시어머니 "너무 속상해"
- 유재석, 역대급 실언…풋풋한 커플에 "아드님이세요?"
- "김수현, 군 시절 17세 김새론 아닌 다른 여배우와 3년 교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