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리포트] 제일 급한 게 집인데…"재원 마련 막막"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불에 타 잿더미로 변한 집들이 철거되기 시작했습니다.
3년 전 울진 산불 때 쓰던 조립주택, 컨테이너 안에 거실, 주방을 겸한 공간과 침실, 화장실을 갖췄습니다.
[신종진/영덕군 도시디자인과장 : 특별법을 만들어주셔서 시군 재정에 상관없이 빨리 복구해서 이재민들이 생업에 돌아갈 수 있도록.] 한국전쟁 이래 최대 주택 피해를 낳은 이번 산불, 이재민들이 돌아갈 집을 신속히 마련할 특단의 대책이 절실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불에 타 잿더미로 변한 집들이 철거되기 시작했습니다.
석면 슬레이트부터 먼저 걷어낸 뒤 중장비들이 나서 나머지 잔해들을 해결합니다.
화마가 휩쓸고 간 지 3주째, 이제 주거 회복 작업이 시작됐습니다.
산불 피해를 입은 마을마다 임시 주거용 조립식 주택이 들어설 예정입니다.
3년 전 울진 산불 때 쓰던 조립주택, 컨테이너 안에 거실, 주방을 겸한 공간과 침실, 화장실을 갖췄습니다.
영덕군은 이 같은 형태의 35제곱미터 규모 임시주택 1천 개 동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마을별로 조립식 주택을 한데 모은 임시주택단지 부지를 정하는 게 마무리 단계이고 이재민이 원하면 원래 집터에도 지어줄 방침입니다.
[영덕군 지품면 이재민 : 하루빨리 해결돼야 할 텐데 군에도 어제 얘기 들어보니까 (임시주택) 예산을 줘야 한다]
하지만, 예산 마련이 만만치 않습니다.
한 동당 건립비는 4,400만 원, 영덕 지역 1천 개 동을 만드는 데 440억 원이 필요합니다.
국비와 지방비 분담 비율이 5대 5로 도비와 군비가 110억 원씩 투입돼야 하지만 영덕군은 예산 마련을 막막해하고 있습니다.
행안부는 3년 전 울진 산불 때도 국비와 지방비 비율이 같았다는 입장이지만 피해 규모가 이번보다 훨씬 작았던 만큼 당시 건립된 조립식 주택은 188개 동에 불과합니다.
이 때문에 울진 때는 도비와 군비 부담이 각각 15억 원대였지만 지금은 20배를 넘는 330억 원에 이릅니다.
더구나 특별재난지역의 대부분 구호비는 국비와 지방비 비율이 7대 3인데 비해 이재민 핵심 대책의 분담 비율이 5대 5라는 건 이해하기 힘든 대목입니다.
[신종진/영덕군 도시디자인과장 : 특별법을 만들어주셔서 시군 재정에 상관없이 빨리 복구해서 이재민들이 생업에 돌아갈 수 있도록.]
한국전쟁 이래 최대 주택 피해를 낳은 이번 산불, 이재민들이 돌아갈 집을 신속히 마련할 특단의 대책이 절실합니다.
(취재 : 박철희 TBC, 영상취재 : 김명수 TBC, 디자인 : 최성언 TBC,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악수 건네자 트럼프는 무시…귀빈석서 마주친 여성 누구길래
- "윤미향 떠올라" 꿀꺽하나…업소 갔던 기부단체? [사실은 A/S]
- 부천 아파트 주차장서 '체액 테러'…남성 정체에 '경악'
- [꼬꼬무 찐리뷰] 살인자 김일곤, CCTV에 담긴 섬뜩한 미소…28명 죽이려 만든 충격의 '살생부'
- "세계서 희귀, 매우 이례적"…한국서 포착된 '행운의 상징'
- 플러팅 장인도 꺾은 마력…블라인드 소개팅의 섬뜩 경고
- 부산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공사 현장 주변서 또 대형 싱크홀
- 유승민, 경선 불출마…"국민의힘, 반성과 변화의 길 거부"
- 윤 전 대통령, 파면 후 내일 '내란혐의' 첫 정식 형사재판
- 트럼프, 반도체 관세 질문에 "14일에 답하겠다…구체적일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