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어쩌나” 트럼프 ‘반도체 관세 임박’ 발언에 SK하닉 6% 급락···삼전도 2% ‘뚝’ [종목Pick]

김민지 2025. 4. 4. 16:4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3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 관세가 임박했다며 이같이 밝히자 4일 국내 반도체 대장주들이 일제히 하락했다.

미국이 3일(현지시간) 외국산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한 데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 관세까지 조만간 도입하겠다고 밝히자, 한국의 주 수출을 차지하는 산업들이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 6% 급락···삼성전자도 2%대↓
반도체 관세 임박 트럼프 발언에 직격탄
상호관세 도입에 美증시 기술주 급락
다시 올라오는 AI 거품론
[게티이미지뱅크·AFP·망고보드]

[헤럴드경제=김민지 기자] “아주 곧 이뤄질 것”

지난 3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 관세가 임박했다며 이같이 밝히자 4일 국내 반도체 대장주들이 일제히 하락했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이날 6% 넘게 급락했다. 이날 SK하이닉스는 전장 대비 6.37% 내린 18만2200원으로 마감했다.

주가는 개장 직후 3.44% 내리며 19만원대에서 밀려난 뒤 한때 8.32% 약세로 17만8400원까지 내리는 등 급락세를 이어갔다.

또 다른 반도체 대장주 삼성전자도 하락세를 피하지 못했다. 삼성전자는 이날 전장 대비 2.60% 내린 5만6100원을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개장 직후 2.43% 내린 뒤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전후해 1%대 강세로 전환하기도 했으나 이내 반락해 3% 안팎의 약세가 이어졌다.

이 밖에도 ▷이오테크닉스(-8.35%) ▷디아이티(-8.60%) ▷피에스케이홀딩스(-5.26%) ▷테크윙(-3.30%) ▷한미반도체(-2.53%) 등 반도체주가 줄줄이 내렸다.

트럼프 발언과 함께 상호관세 부과 이후 경기 침체 우려로 전날 뉴욕 증시 반도체주가 일제히 급락한 것도 악재가 됐다.

▷엔비디아(-7.77%) ▷마이크론테크놀로지(-16.09%) ▷브로드컴(-10.51%) 등 반도체주가 줄줄이 내린 결과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는 9.88% 폭락했다.

애플(-9.32%), 테슬라(-5.47%) 등 대형 기술주도 동반 하락하며 뉴욕증시는 팬데믹 이후 가장 큰 하락폭으로 ‘최악의 날’을 맞이했다.

여기에 마이크로소프트가 전 세계 데이터센터 프로젝트를 축소하고 있다는 외신 보도 역시 최근 끊이지 않는 인공지능(AI) 투자 거품론을 재자극했다.

외신들은 상호관세로 인해 미국 내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을 위한 빅테크의 투자가 차질을 빚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미국이 3일(현지시간) 외국산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한 데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 관세까지 조만간 도입하겠다고 밝히자, 한국의 주 수출을 차지하는 산업들이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대미 반도체 수출액은 106억달러(약 15조원)를 기록했다. 특히 미·중 갈등 심화와 AI 시장 확대에 따른 미국의 반도체 수요 증가로 대미 반도체 수출은 확대되는 추세다.

현재 삼성전자는 텍사스주 테일러에 총 370억달러 이상을 투입해 2026년 가동 목표로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을 건설하고 있고, SK하이닉스는 인디애나주에 38억7000만달러를 투자해 인공지능(AI) 메모리용 어드밴스드 패키징 생산 기지를 건설하기로 했다.

그러나 전 세계 1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TSMC가 미국에 146조원 규모의 신규 투자를 하겠다고 밝히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업체들의 압박감은 커지고 있다. 기존 대미(對美) 투자에 대해 약속받은 보조금 지급마저 불투명한 상황이다.

차용호 LS증권 연구원은 “반도체는 상호관세 제외 품목으로 지정됐지만 IT 기기(Device)에 대한 관세는 면제되지 않았다”며 “대부분의 세트(Set) 조립이 중국, 인도, 베트남, 멕시코 등과 같은 인건비가 저렴한 국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결국 수요 측면에서는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했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