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재 선고 전 尹 하야 가능?→노희범 변호사 "국회법엔 탄핵 뒤 사임 불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를 앞두고 이런저런 '받은 글'(사설 정보지) 들이 나돌고 있다.
그러나 대통령 사임으로 헌재의 탄핵심판 절차, 선고 등이 중단되는지에 대해 노 변호사는 "독일 연방헌법재판소는 '절차의 진행이나 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판단한 바 있다"고 지적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스1) 박태훈 선임기자 =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를 앞두고 이런저런 '받은 글'(사설 정보지) 들이 나돌고 있다.
그중 2일부터 윤 대통령이 헌법재판소 선고(4일 오전 11시) 전에 하야할 것이라는 내용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경우 헌재 선고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대통령의 사임은 발표 즉시 효력을 발휘할지 많은 이들이 궁금해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헌법재판소 연구관을 지낸 노희범 변호사(사법연수원 27기)는 3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우리 법에는 대통령이 심판 선고가 있기 전에 사임하는 경우에 탄핵 심판 절차가 계속 진행이 되는지, 선고할 수 있는지에 대한 명확한 규정은 없다"고 했다.
다만 "국회법을 보면 탄핵소추 의결서가 헌법재판소와 당사자에게 도달이 된 뒤에는 '임명권자가 해임' 하거나 '피소추자(탄핵을 당한 자)는 사임할 수 없다'고 돼 있다"고 소개했다.
노 변호사는 "이렇게 한 건 탄핵 심판에 의해 파면 효과를 발생시키고 헌법적 분쟁을 해결하겠다는 뜻이다"며 "그런데 만약 당사자가 임의로 사임하거나 임명권자가 해임하면 탄핵 심판 절차의 효용성이 떨어지기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국회)법으로 만들어 놓은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대통령의 경우 임명권자가 별도로 없기에 명확한 근거 규정은 없다"며 대통령이 임의로 사임해도 제동을 걸 장치가 없는 건 사실이라고 했다.
그러나 대통령 사임으로 헌재의 탄핵심판 절차, 선고 등이 중단되는지에 대해 노 변호사는 "독일 연방헌법재판소는 '절차의 진행이나 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판단한 바 있다"고 지적했다.
또 "우리 학계도 탄핵 심판 절차, 즉 변론이 종결돼 선고가 임박한 경우에는 탄핵의 본질이나 성격, 기능에 비추어 봐서 '탄핵 심판 절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보고 있다"며 "따라서 만약 지금 대통령이 사임하더라도 헌법재판소는 탄핵 심판 선고를 그대로 할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buckbak@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조선대 신입생 MT서 '입에서 입' 러브샷…성희롱 발언도
- "성욕 채우려고"…우체국 여직원에 '썼던 콘돔' 담긴 봉투 보냈다
- 도봉역서 벤츠 난동 아찔…경찰차 뚫고 가려고 앞뒤로 쾅쾅쾅[영상]
- 드럼통 들어간 나경원 "이재명, 아프긴 아팠나 봐…그가 되면 그 공포는"
- '학폭 재판 노쇼' 권경애 "내 잘못 알려졌으니 9천만원 못줘" 손배 거부
- 애인과 싸우다 '격분'…가스 불로 강아지 태운 20대 남성 체포
- '30년간 외도' 이승연 아빠 "난 여복 강해, 하자는 대로 따라간 것"
- "놀 시간 얼마 없다"…제자들에게 회장님 술 접대시킨 교수, 결국 해임
- 샤이니 태민, 노제와 백허그? 온라인발 열애설…소속사 "확인 중"
- 순돌이 이건주, 44년만에 친모 찾고 "무당 촉 맞았다"…가족증명서에 충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