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 사상최대 R&D 투자…"2033년 글로벌 톱3"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현대모비스가 모빌리티 시장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올해 연구개발(R&D)에 사상 최대 규모인 2조243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아울러 현대모비스는 올해 국내외 글로벌 생산거점에 2조4254억원을 투자한다.
현대모비스은 전략적 투자를 확대하고 글로벌 고객을 확대해 더 큰 성장을 이끌어 낸다는 계획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33년 글로벌 완성차 매출비중 40% 목표
현대모비스가 모빌리티 시장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축적된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외형과 수익성을 함께 키우는 질적 성장으로 '글로벌 톱 3' 부품사가 되겠다는 목표다.
현대모비스는 올해 연구개발(R&D)에 사상 최대 규모인 2조243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작년보다 16% 증가한 수치다. 2021년 1조1674억원과 비교하면 4년만에 2배 늘었다.
연구개발 인력도 꾸준히 늘고있다. 국내외 R&D 인력은 2020년 5489명에서 지난해 7457명으로 증가했다. 현재 국내 R&D 인력(약 5900명)만으로도 2020년 전체 R&D 인력 규모를 넘어섰다.
아울러 현대모비스는 올해 국내외 글로벌 생산거점에 2조4254억원을 투자한다. 작년부터 매년 2조원 이상 투자하고 있다.
선제적 투자는 실적 상승으로 이어지며 선순환되고 있다. 10.6%→10.4%→10.1%→9.5%→8.9% 등 최근 5년간 전동화·부품제조 매출 대비 R&D 비중은 매년 감소 추세다.
현대모비스는 최근 경기 용인 기술연구소에서 새 기업 비전(Lead the Shift in Mobility, Move the World beyond Possibilities)을 공개했다. 이규석 사장은 "미래 자동차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도하고, 혁신 기술과 솔루션으로 한계를 뛰어넘어 글로벌 시장을 확장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현대모비스은 전략적 투자를 확대하고 글로벌 고객을 확대해 더 큰 성장을 이끌어 낸다는 계획이다.
2027년까지 연평균 8% 이상의 매출 성장과 5~6% 수준의 영업이익률 달성이 목표다. 아울러 주주환원의 균형을 맞춰 주주가치를 극대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2033년 부품제조 글로벌 완성차 매출비중 40%의 '글로벌 톱 3' 부품사로 거듭날 계획이다.
안준형 (why@bizwatch.co.kr)
ⓒ비즈니스워치의 소중한 저작물입니다. 무단전재와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 비즈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현대차 자율주행 포티투닷, 1700억 영업손…아직 '죽음의 계곡'
- [청기홍기]달라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평가…국내외 목표가↑
- [공모주달력]셀트리온 출신이 만든 '로킷헬스케어' 수요예측
- 믿을 건 재건축?…10대 건설사 1분기만에 1조클럽 5곳
- 'K-제약·바이오' 선전 어디까지…수출 성적표 매겨보니
- 제약 vs 바이오기업 근속연수 격차 '벌어질만 하네'
- HLB, 중국 파트너사 '항서제약' 믿는 이유는
- 두나무는 배당, 빗썸은 경영진 보수 증액
- [인사이드 스토리]쿠팡과 컬리의 같은 듯 다른 '농가 살리기'
- 삼성SDI, 차세대 배터리 첫 생산…마무리 과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