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디지털 격차 해소"…서울시, 5200명 정보화 교육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시는 올해 장애인들의 디지털 활용능력 향상을 통한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해 장애인 5200명을 대상으로 서울시내 7개 교육기관에서 장애인 정보화 교육사업을 추진한다고 30일 밝혔다.
장애인 정보화 교육사업을 통해 지난 3년간 총 1만 8000명의 수료생을 배출했으며, 이 중 170여 명은 자격증을 취득하거나 취업에 성공하는 등 경제활동과 사회진출에도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자격갖춘 7개 복지관 교육기관으로 선정…PC·모바일 교육
3년간 1만8000여명 수료…170여명 자격증 취득으로 취업도
[이데일리 함지현 기자] 서울시는 올해 장애인들의 디지털 활용능력 향상을 통한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해 장애인 5200명을 대상으로 서울시내 7개 교육기관에서 장애인 정보화 교육사업을 추진한다고 30일 밝혔다.
올해 교육은 서울시 거주 장애인 5,200명을 대상으로 4월부터 11월까지 약 8개월간 진행된다. 교육장비와 강사 확보 등 충분한 자격을 갖춘 강서구 기쁜우리복지관 등 지역별 종합복지관 7개 기관을 교육기관으로 선정하고, 수준별 맞춤형 정보화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교육은 원칙적으로 장애인 본인을 대상으로 하나, 수강생의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해 장애인과 동일 거주지에 거주하는 직계 가족도 수강 가능하다. PC교육 초·중·고급 과정과 모바일 교육과정으로 나눠 진행한다. 전액 무료다.
교육과정은 취업 및 사회진출에 유용한 정보화 자격증 과정과 함께 수준별 집합교육 위주로 구성되며 특히 스마트폰과 모바일 앱 사용 등 실생활 활용도가 높은 모바일 교육이 전체의 65%이상을 차지한다.
교육기간은 4월~11월 교육진행기간중 원하는 경우 최대 8개월까지도 교육받을 수 있다.
지난 2024년 정보화 교육은 총 5416명이 참여했다. 남성이 57%, 여성은 43%가 참여했다. 연령별로는 10대에서 70대 이상까지 다양했으며 그중 70대 이상이 37%로 가장 많고, 60대 26%, 20대이하 20% 순이었다. 장애 유형별로는 시각장애인이 24%, 지적장애인 19% 순이었다.
강옥현 서울시 디지털도시국장은 “장애인들이 보다 유용하고 다양한 정보화 교육을 통해 실생활에 활용하는 것은 물론 경제·사회활동 참여 기회를 넓히는데 도움이 되기 바란다”고 말했다
함지현 (hamz@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與주장 '이재명 파기자판' 불가능..2심 무죄→형확정 전무
- '월세 1억3000만원' 내는 BTS 제이홉…부동산 투자 보니[누구집]
- 사라진 치매 노인…수백 개 CCTV서 1초 만에 찾았다[AI침투보고서]
- "실험적인 맛" 삼양 비빔면은 다르네…'민초단' 저격 나섰다[먹어보고서]
- 개 700마리 가두고 ‘홀로 대피한’ 주인 나타나 한 말
- 문 손잡이 꼭 잡은 채 발견된 숨진 독거노인...산불 현장
- 공매도 D-1, 불법 거래 어떻게 막나…“99% 적발 가능”
- ‘6만전자’도 힘겨운데…외인 3268억원 쓸어담은 이유는
- ‘발동 걸린’ 이정후, 두 번째 경기서 첫 안타·타점·도루 기록
- ‘배준호 선제골·양민혁 데뷔골’ 코리안 더비, 뜨겁게 타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