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장애인 자립지원에 1조6천억원 투입…역대 최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기도는 올해 장애인 자립예산으로 역대 최대 규모인 1조5977억원을 투입해 일자리·소득, 거주공간, 자립 전후 생활 지원 등 3대 영역에 43개 사업을 추진한다.
자립 전후 생활 지원 영역에서는 자립 욕구 실태조사, 발달장애인 자립지원서비스, 활동 지원급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기도는 올해 장애인 자립예산으로 역대 최대 규모인 1조5977억원을 투입해 일자리·소득, 거주공간, 자립 전후 생활 지원 등 3대 영역에 43개 사업을 추진한다.
경기도는 먼저 일자리·소득 영역의 경우 행정기관과 복지기관의 사무·행정·서비스 보조 등에 전국 최대 규모인 공공일자리 4944개를 제공한다. 또 중증장애인의 직업능력 개발과 취업 촉진 등을 위한 일자리 775개도 마련한다.
장애인직업재활시설 훈련장애인 1592명에게 1인당 월 16만원의 기회 수당을 지급하고 장애인 기회 소득과 누림통장 지원 대상도 확대한다. 누림통장은 중증 장애 청년이 월 10만원을 저축하면 도와 시군이 10만원을 추가 지원하는 사업이다.
거주공간 영역에서는 독립된 거주 공간 확보를 위한 주거 지원으로 지역사회 정착도 도모한다. 총 180호의 체험 홈·자립생활 주택 등을 운영하고 자립 초기 필요한 정착금도 지급한다.
자립 전후 생활 지원 영역에서는 자립 욕구 실태조사, 발달장애인 자립지원서비스, 활동 지원급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재가 중증장애인 1000명을 대상으로 하는 자립 욕구 실태조사는 광역지자체 가운데 처음으로 도시형, 도농복합형, 농촌형으로 구분해 진행한다.
김하나 경기도 복지국장은 "어려운 재정 여건 속에서도 역대 최대 장애인 예산을 편성한 만큼 관련 예산을 효율적으로 배분해 더 많은 장애인에게 고른 혜택이 돌아가도록 세심하게 살피고 사회·경제·문화적 변경에 따라 요구되는 맞춤형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정책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은 끝났다…아마 돌이킬 수 없을 듯" 섬뜩 경고 날린 2380만 유튜버 - 아시아경제
- 음료 '딱 한 모금' 마셨는데 사망…기도에서 곰팡이 자라고 있었다 - 아시아경제
- 2000만t 희토류 '잭팟' 터졌다…단숨에 세계 3위된 이곳 - 아시아경제
- 고혈압 환자에겐 '독'이 될수도…꼭 피해야 할 '이 음식' - 아시아경제
- "안전한 나라인 줄 알았는데"…20대 한국인 유학생 대만서 흉기에 찔려 - 아시아경제
- 로또 1등 당첨자 5명 모두 '용산'서 샀다…동일인이면 100억 수령 - 아시아경제
- 박근혜·노무현 때는 안그랬는데…헌재, 尹 결정문 '결론' 5쪽 쓴 이유 - 아시아경제
- "주식 시장 20% 폭락은 의도한 것" 트럼프가 올린 동영상 사실은 - 아시아경제
- "행운 온다" 너도 나도 쓱쓱…동상 가슴 훼손에 칼 빼든 도시 - 아시아경제
- "맨발로 팬티 입으면 피부병 생긴다"…이유가 뭐길래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