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나든 말든 '소각' 계속‥남모르게 타오른다

윤소영 2025. 3. 28. 02:4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앵커 ▶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이번 산불은 대부분 사람에 의해 시작됐는데요.

그런데도 농촌에선 여전히 불법 소각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윤소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계룡산 국립공원 산자락에 있는 한 농촌 마을.

밭을 매는 주민 옆으로 흰 연기가 피어오릅니다.

지난해 농사를 짓고 남은 짚을 모아 태우는 중입니다.

밭 곳곳엔 이미 여러 차례 불을 지핀 흔적이 선명합니다.

산불 감시원이 종종 마을을 순찰하지만, 빈틈을 노려 소각을 하는 겁니다.

[마을 주민 (음성변조)] "(산불 감시원이) 뺑뺑 돌아다녀, 하지 말라고 하지. 근데 안 태울 수가 있어?"

인근 논두렁 곳곳에도 소각 흔적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산림과 가까운 논두렁이 불에 타 검게 그을려 있습니다. 자칫 불씨가 잘못 날렸으면 큰 산불로 이어질 뻔했습니다.

경북 북부 등 전국 곳곳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하고 있는데도, 농사철이 다가오자 논·밭두렁을 태우고 있는 겁니다.

농촌진흥청이 매년 월동기 논두렁엔 해충보다 익충이 많고 소각을 통한 방제 효과가 크지 않다고 설명해도 소용이 없습니다.

심지어 나무가 빽빽한 산속에서도 영농 부산물을 태우고 있습니다.

파쇄하거나 외부로 반출하는 방법도 있지만 돈이 많이 든다는 이유로 소각을 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농민 (음성변조)] "그럼 인건비 누가 대줄 거예요. 이거 농사지어서 인건비 나와요?"

며칠째 이어지는 강한 바람을 타고 불씨가 바로 뒤 산으로 날아갈 수 있는 데도 산불로 번질 일은 없다고 장담합니다.

[농민 (음성변조)] "이 뒤에 (낙엽 등은) 다 긁어서 불이 날 수 없게 만들었잖아. <나무 같은 건?> 그러니까, 저런 거는 불이 안 나요, 금방."

산림으로부터 100m 이내에서 소각하다 불이 나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집니다.

현재 전국적으로 발생한 대형 산불은 대부분 사람에 의한 실화로 발생했습니다.

MBC뉴스 윤소영입니다.

윤소영 기자(sy@tjmbc.co.kr)

기사 원문 - https://imnews.imbc.com/news/2025/society/article/6700557_36718.html

Copyright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