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나든 말든 '소각' 계속‥남모르게 타오른다
◀ 앵커 ▶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이번 산불은 대부분 사람에 의해 시작됐는데요.
그런데도 농촌에선 여전히 불법 소각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윤소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계룡산 국립공원 산자락에 있는 한 농촌 마을.
밭을 매는 주민 옆으로 흰 연기가 피어오릅니다.
지난해 농사를 짓고 남은 짚을 모아 태우는 중입니다.
밭 곳곳엔 이미 여러 차례 불을 지핀 흔적이 선명합니다.
산불 감시원이 종종 마을을 순찰하지만, 빈틈을 노려 소각을 하는 겁니다.
[마을 주민 (음성변조)] "(산불 감시원이) 뺑뺑 돌아다녀, 하지 말라고 하지. 근데 안 태울 수가 있어?"
인근 논두렁 곳곳에도 소각 흔적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산림과 가까운 논두렁이 불에 타 검게 그을려 있습니다. 자칫 불씨가 잘못 날렸으면 큰 산불로 이어질 뻔했습니다.
경북 북부 등 전국 곳곳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하고 있는데도, 농사철이 다가오자 논·밭두렁을 태우고 있는 겁니다.
농촌진흥청이 매년 월동기 논두렁엔 해충보다 익충이 많고 소각을 통한 방제 효과가 크지 않다고 설명해도 소용이 없습니다.
심지어 나무가 빽빽한 산속에서도 영농 부산물을 태우고 있습니다.
파쇄하거나 외부로 반출하는 방법도 있지만 돈이 많이 든다는 이유로 소각을 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농민 (음성변조)] "그럼 인건비 누가 대줄 거예요. 이거 농사지어서 인건비 나와요?"
며칠째 이어지는 강한 바람을 타고 불씨가 바로 뒤 산으로 날아갈 수 있는 데도 산불로 번질 일은 없다고 장담합니다.
[농민 (음성변조)] "이 뒤에 (낙엽 등은) 다 긁어서 불이 날 수 없게 만들었잖아. <나무 같은 건?> 그러니까, 저런 거는 불이 안 나요, 금방."
산림으로부터 100m 이내에서 소각하다 불이 나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집니다.
현재 전국적으로 발생한 대형 산불은 대부분 사람에 의한 실화로 발생했습니다.
MBC뉴스 윤소영입니다.
윤소영 기자(sy@tjmbc.co.kr)
기사 원문 - https://imnews.imbc.com/news/2025/society/article/6700557_36718.html
Copyright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 청송서 1명 사망 추가 확인‥경북 산불 사망자 24명
- 지리산 천왕봉 향하는 불길‥밤샘 진화 총력
- 오늘도 침묵한 헌재, 사실상 4월로‥이 시각 헌법재판소
- 곽종근, 尹 향해 "정녕 의원 끄집어내라 지시한 적 없나"
- 하회마을·병산서원도 위태‥'문화유산 방어전' 사투
- 권성동 실명 거론하며 비판한 판사들 봤더니‥노상원 수첩속 '수거대상'
- 다시 고개 드는 독재 "힘은 우리 안에" 예술가들의 외침
- 25% 관세에 수출액 18% 감소? 정부 비상대책은 "다음달에‥"
- [혐중 카르텔] 초등학생까지 번진 혐중‥학폭에 왕따까지
- [단독] '대통령 가짜 출근' 취재가 '건조물 침입'?‥취재 기자 '기소유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