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뱃값도 안 주냐" 버스 기사 '황당' 요구… 분노한 식당 주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 식당 사장이 단체 손님을 데려오는 조건으로 리베이트를 요구한 여행사 버스 기사에 대해 분노했다.
지난 27일 자영업자 커뮤니티 아프니까 사장이다에는 '여행사 버스 기사 너무 당당하게 담뱃값 얘기하네요'라는 제목의 게시글이 올라왔다.
일부 관광버스 기사 등은 단체 손님을 관광지 식당으로 인도한 후 리베이트를 받는 것을 관행이라 주장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27일 자영업자 커뮤니티 아프니까 사장이다에는 '여행사 버스 기사 너무 당당하게 담뱃값 얘기하네요'라는 제목의 게시글이 올라왔다. 작성자 A씨는 "(여행사 버스 기사에게) 갑자기 전화가 왔다. 30명 정도 갈 건데 인센티브나 담뱃값이 얼마냐고 물었다"고 설명했다.
A씨가 "우리는 그런 거 없다. 기사님 식사 정도 제공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답하자 기사 B씨는 "선배라는 사람이 전화가 와서 일부로 가는 건데 담뱃값도 안 주냐"고 되물었다. 이에 당황한 A씨는 "이게 일반적이고 통용되는 상식처럼 말하는데 맞을까요"라고 묻자 B씨는 "맞다. 거기가 관광지가 아니라서 통상 10% 정도는 주는 게 맞다"고 당당하게 돈을 요구했다. A씨는 "그럼 다른 가게 가셔야 할 것 같다"고 전화를 끊었다.
A씨는 "이게 맞는지 모르겠다. 너무 당당하게 요구하길래 맞나 싶어서 글을 올려본다"며 "어려운 시기에 장사하는데 여기저기서 참"이라고 분개했다.
A씨 사연을 두고 누리꾼들의 반응도 엇갈렸다. 일부 누리꾼들은 "식당 매출을 올려주는 일이라 일부 수수료를 주긴 한다" "담뱃값 명목으로 10% 정도 주긴 한다" "암묵적인 룰 같은 것" "배달 대행사가 수수료 받아 가는 것과 비슷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반면 일부 누리꾼들은 "리베이트는 한번 주기 시작하면 끝이 없다" "사장님 마음이다" "주면 좋고 아니면 말고 식이지 대놓고 달라고 하니 기분 나쁘다" "식사하고 난 다음에 물어보면 고민이라도 해볼 것 같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일부 관광버스 기사 등은 단체 손님을 관광지 식당으로 인도한 후 리베이트를 받는 것을 관행이라 주장한다. 다만 누리꾼들은 이는 식당 주인들이 서비스 개념에서 베푸는 호의일 뿐 당연한 건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한 누리꾼은 "버스 기사들이 세금도 내지 않는 불투명한 리베이트를 받는 것을 관행을 용인하는 것이 말이 되냐"고 강하게 비판했다.
최진원 기자 chjo0630@mt.co.kr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여성 자취방 앞에서 음란행위, 핥기까지"… 변태남 '충격' 정체 - 머니S
- "XX 좀 보겠다"… 김수현, 19세 김새론에 보낸 '충격' 영상 - 머니S
- 한뼘 드레스 입고 '보일락 말락'… 걸그룹 출신, 과감한 노출 '헉' - 머니S
- 미역국에 '콩·김치'뿐… 6시간 산불 진화한 소방관의 '짠한 저녁' - 머니S
- '장사의 신' 백종원의 침몰?… 이번엔 '덮죽 허위 광고 의혹' 고발 - 머니S
- "콘서트 73분 늦춰져 죄송"… 8년만 콘서트 연 지드래곤, 사과 나서 - 머니S
- '2세 경영' 솔루엠 경고등… 주력 ESL 부진에 내부도 술렁 - 머니S
- 수익률 30% 낸 외국인·개인은 5%… 1분기 희비 갈렸다 - 머니S
- [오늘 날씨] 봄볕 속 겨울바람… 환절기 일교차 주의 - 머니S
- "4월 중국 증시, 긴축 넘고 부양 가속… 'N자 반등' 시그널" - 머니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