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채소 240g 이상 섭취하면 간 경변 환자 간암 발생 위험 65% 감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간 경변 환자가 하루에 채소를 240g 이상 섭취하면 간암에서 가장 흔한 간세포암(HCC) 발생 위험이 65%나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채소에 든 항산화 성분과 미량 영양소가 항산화· 항염 효과를 발휘해 간세포암 발생 위험을 낮췄을 가능성이 있다"며 "채소 섭취를 늘리는 것이 간암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식이 전략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채소에 든 식이섬유· 파이토케미컬의 항산화· 항염 작용 덕분
한국인의 과일… 채소 권장량만큼 섭취 비율 1/4 미만
연구팀은 간 경변 환자 179명을 1일 채소 섭취량을 기준으로 하루 240g 미만 섭취 그룹과 240g 이상 섭취 그룹으로 분류했다. 매일 240g 이상 채소 섭취 그룹의 간세포암 발생 위험이 240g 미만 섭취 그룹보다 65%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채소를 많이 챙겨 먹는 식단이 간 경변 환자 등 간암 고위험 집단의 간암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 연구는 간 경변이 확인된 환자를 수년간 추적하며 식단과 간세포암 발생 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다.
전체 연구 대상자의 42.5%가 과일· 채소 섭취 부족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보건기구(WHO)와 프랑스는 하루 400g 이상의 과일ㆍ채소 섭취를 권장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하루 500g 이상을 권장하고 있다. 우리 국민은 하루 평균 115g의 김치를 먹기 때문에 절임 채소를 제외한 생채소와 과일을 충분히 섭취하도록 세계보건기구보다 많게 설정한 것이다. 하지만 2022년 기준으로 실제 하루 500g의 권장량을 섭취하는 비율은 24.6%로, 4명 중 1명에도 미치지 못한다. 남성에선 20.7%, 20대에선 11.9%에 그쳤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채소에 든 항산화 성분과 미량 영양소가 항산화· 항염 효과를 발휘해 간세포암 발생 위험을 낮췄을 가능성이 있다”며 “채소 섭취를 늘리는 것이 간암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식이 전략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세계암연구기금(World Cancer Research Fund)과 미국암연구소(American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는 1997년부터 식이섬유 섭취와 암 발생 위험 간의 관계를 평가해 왔다. 2018년 발표된 최신 보고서에선 식이섬유가 풍부한 식단이 대장암 위험을 감소시킨다고 했다.
박태해 기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55세에 손녀 같은 막내딸까지 얻었는데…이혼설 터진 신현준, 진실은?
- “운동 다녀올게” 집 나선 40대女 참변…30대男 “너무 힘들어서”
- ‘78세’ 김용건, 붕어빵 늦둥이 아들 공개? “역시 피는 못 속여”
- “돈독 올랐다” 욕먹은 장윤정, ‘진짜 돈독’ 오른 사정 있었다
- “내 콩팥 떼어주면 돼” 언니에게 선뜻 신장 내어준 동생
- “개보다 못해” 아내에 피살된 유명 강사…백종원 피고발 [금주의 사건사고]
- 누군지 맞히셨어요?…아기 때 얼굴 전혀 없다는 유명 방송인
- “이제 10억으론 어림도 없어요”
- “한국인 45만명 사라졌다”…무슨 일이?
- "남자한테 참 안 좋은데~"… 우리도 모르게 섭취하고 있는 '이것' [수민이가 궁금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