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묘앞역 이름 바뀔까 [김태훈의 의미 또는 재미]

김태훈 2025. 3. 27. 17:3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지하철 1호선을 자주 이용하는 시민이라면 신설동역과 동대문역 사이에 '동묘앞'이란 이름의 역이 생겨났을 때 다소 생소했을 것이다.

1호선보다 한참 나중인 2000년 만들어진 6호선이 1호선과 교차하는 지점에 6호선 동묘앞역이 먼저 개통했다.

2005년 1호선 동묘앞역이 문을 열며 비로소 완전한 의미의 환승역이 되었다.

지은지 오래돼 상대적으로 낡은 1호선 다른 역사들과 비교해 동묘앞역이 산뜻하게 보이는 이유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지하철 1호선을 자주 이용하는 시민이라면 신설동역과 동대문역 사이에 ‘동묘앞’이란 이름의 역이 생겨났을 때 다소 생소했을 것이다. 1호선보다 한참 나중인 2000년 만들어진 6호선이 1호선과 교차하는 지점에 6호선 동묘앞역이 먼저 개통했다. 그리고 이 역에서 1호선과 갈아탈 수 있도록 기존에 없던 역사를 새로 짓는 공사가 진행됐다. 2005년 1호선 동묘앞역이 문을 열며 비로소 완전한 의미의 환승역이 되었다. 지은지 오래돼 상대적으로 낡은 1호선 다른 역사들과 비교해 동묘앞역이 산뜻하게 보이는 이유다.
서울 지하철 1호선·6호선 환승역인 동묘앞역 모습. ‘숭인역’으로 이름을 바꾸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연합뉴스
동묘란 동관왕묘(東關王廟)의 준말이다. 유비, 장비와 더불어 ‘삼국지’의 주인공인 관우(關羽), 즉 관왕을 모신 사당이라는 뜻이다. 한국 땅에 관왕묘가 들어선 배경은 조선 시대 임진왜란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일본의 침략으로부터 조선을 방어하기 위해 온 명나라 장수들이 동묘 조성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진다. 중국에선 관우를 위대한 군인으로 여겨 무관들 사이에 대대로 관우를 숭배하는 문화가 이어져 왔다. 명나라 도움으로 겨우 나라를 지켰으니 거부할 수 없는 압력이었을 것이다. 결국 임진왜란 종전 이듬해인 1599년 공사를 시작해 1601년 완공됐다.
오늘날 동묘앞역 부근은 ‘쇼핑의 명소’로 통한다. 중고 물품을 판매한다는 의미의 구제(舊製) 시장이 특히 인기다. MZ세대가 선호할 만한 브랜드의 낡은 의상을 미국, 유럽에서 수입해 저렴하게 파니 늘 손님들로 발 디딜 틈 없이 북적인다. 헌책을 찾는 이도 많다. 일반 서점에서 2만원 가까이 하는 비싼 서적을 겨우 3000원에 구입할 수 있다고 한다. 동묘 구제 시장에서 중고책방을 운영하는 사장이 언론 인터뷰에서 “경기가 어렵다 보니 요즘엔 젊은이들도 헌책을 사러 많이 온다”고 말한 것이 눈에 띈다.
서울 종로구 동묘 구제 시장에 있는 한 옷 가게에서 시민들이 의상을 구경하고 있다. 지하철 동묘앞역 부근에 자리한 구제 시장은 저렴한 중고 상품을 찾는 이들로 늘 붐빈다. 연합뉴스
동묘앞역이 있는 종로구 주민들 사이에 ‘역 이름을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동묘는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1963년 보물 제142호로 지정됐으나, 당시에도 ‘중국인을 모신 사당이 왜 한국의 국가유산이 돼야 하는가’라는 반발이 거셌다고 한다. 주민들은 동묘앞역이 위치한 종로구 숭인동(崇仁洞)의 지명을 활용한 ‘숭인역’을 추천하고 나섰다. 이에 종로구도 “지역 주민과 상인들의 오랜 바람이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역명 개칭을 검토하고 나섰다니 어떤 결론이 내려질지 지켜볼 일이다.

김태훈 논설위원 af103@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