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내려갑니다"…2025년 집값 상승률 1위 찍다 갑자기 '뚝' 꺾인 곳

오유교 2025. 3. 27. 15:4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송파구의 아파트 매매가격이 올해 들어 처음으로 주간 기준 하락 전환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시행 직전 선제적 조정 흐름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강남3구 중 하나인 송파구는 올해 들어 처음으로 하락(-0.03%) 전환됐다.

올해 들어 집값 상승의 진원지로 꼽혔던 송파의 경우 규제 시행이 임박하자 선제적으로 악재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5년 집값 상승률 1위 송파구
올해 들어 처음으로 주간 기준 하락전환
토허제 재시행 직전 '악재' 선반영 된듯
강남3구 모두 상승폭 둔화…서울 상승세 ‘급제동’

서울 송파구의 아파트 매매가격이 올해 들어 처음으로 주간 기준 하락 전환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시행 직전 선제적 조정 흐름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이 12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서울시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심의 결과 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부동산원이 27일 발표한 3월 넷째 주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24일 기준)에 따르면 서울은 지난주(0.25%)보다 상승폭이 절반 이하로 줄어든 0.11%를 기록했다. 5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으나 상승폭이 둔화됐다. 강남구(0.36%)와 서초구(0.28%)의 상승폭이 감소했고, 용산구도 0.34%에서 0.18%로 둔화됐다. 특히 강남3구 중 하나인 송파구는 올해 들어 처음으로 하락(-0.03%) 전환됐다.

서울 전역에서는 여전히 상승 지역이 우세했으나, 강남구 개포·압구정동, 서초구 반포·잠원동 등 주요 지역의 상승률은 직전 주보다 낮아졌다. 특히 송파구는 잠실·신천동 일대에서 가격이 조정을 받으면서 하락세로 돌아섰다. 송파는 올해 누적 상승률이 전국 최고인 3.61%에 달할 정도로 상승폭이 컸던 지역이다.

연합뉴스

이번 주간 가격 동향의 기준일은 24일이다. 서울시가 강남·서초·송파·용산 등 4개 구를 묶어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지정, 시행된 날이다. 규제 시행 직전의 시세 변화가 담긴 것으로 볼 수 있다. 올해 들어 집값 상승의 진원지로 꼽혔던 송파의 경우 규제 시행이 임박하자 선제적으로 악재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원은 “재건축 등 선호 단지에 일부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매물 증가와 관망세가 겹치며 상승세가 둔화된 상황”이라고 했다.

한편,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1% 하락 전환되며 상승세가 멈춘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은 0.03% 상승, 지방은 0.04% 하락해 지역별 양극화는 계속 이어졌다. 시도별로는 전북(0.02%), 울산(0.01%) 등은 상승, 경기(0.00%)는 보합, 대구(-0.13%), 인천(-0.07%), 제주(-0.06%), 광주(-0.06%), 경남(-0.05%), 대전(-0.05%) 등은 하락했다.

오유교 기자 5625@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