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정 전 서울대 총장 “경쟁 교육 탈피 위해 대입 자율화 필수”
학령인구 감소에 맞춰 한국 교육의 패러다임을 다양한 전문성을 가진 인재를 양성하는 맞춤형 교육으로 전환하자는 목소리가 나왔다. 전문가들은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해 대입 자율화·다양화, 대학(원)과 기업·지역사회와의 협력 체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은 26일 오후 서울대 관정관에서 ‘인구구조의 변화, 교육의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오세정 서울대 명예교수(전 서울대 총장)는 이날 심포지엄에서 “학령인구가 급속하게 줄어드는 가운데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이 필요한 때”라고 지적했다. 그는 “인공지능(AI) 기술이 발달하고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기존의 획일적인 기준에 따른 경쟁 위주의 교육이 아닌 다양한 특성과 전문성을 가진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맞춤형 교육을 지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 명예교수는 “과도한 대입 경쟁을 완화할 수 있도록 수도권 상위대학들도 특화가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대학 입시의 자율화‧다양화가 필수조건”이라고 설명했다. 학생에 대한 개별적 지원이 가능한 교육 체계를 통해 ‘창조형 인적자본’을 키워내자는 취지다.
대학원 교육‧연구 체계 역시 청년인구의 감소에 대비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조영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국내 청년인구 감소에 따라 2035년 이후 첨단산업을 주도하는 젊은 연구 인력이 감소하는 건 ‘정해진 미래’”라며 “이로 인한 국가 전체의 연구개발(R&D) 위기가 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조 교수는 “이에 대비하기 위해 대학원은 기업과 '인재 쟁탈' 대신 협력하는 체계를 구축하고, 우수한 외국인 대학원생을 유치하기 위한 적극적인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심포지엄에선 지역 소멸을 막기 위해 지역 맞춤형 교육의 필요성도 논의됐다. 송진웅 서울대 물리교육학과 교수는 “학령인구 급감에 따라 지역 학교가 초소형 학교가 되거나 폐교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며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을 토대로, 학교 형태와 교원 양성체제 등을 바꿔 학교가 교사 중심의 ‘교육하는(teaching)’ 곳이 아니라 학생 중심의 ‘학습 경험을 쌓는(learning experience)’ 곳으로 탈바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토론자로 나선 우혜경 공주대 보건행정학과 교수는 “인구구조 변화의 핵심 키워드 중 하나는 지역소멸”이라며 “지역 대학이 우수 연구인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인프라와 제도적 차원에서 각종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보람 기자 lee.boram2@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옥숙, 노태우 취임날 속삭였다…'6공 황태자'의 비밀 | 중앙일보
- "난 동성애자, 부끄럽지 않다"…하이브 걸그룹 멤버 커밍아웃 | 중앙일보
- "하룻밤 여성 3명 강간한 아들 둔 엄마"…김선영 괴롭힌 '이 여자' | 중앙일보
- 김수현, 결국 대만 팬미팅 취소했다…추정 위약금만 무려 | 중앙일보
- "누가 나체로 다녀요" 놀란 대학생들…40대 남성 현행범 체포 | 중앙일보
- "XX, 나 놀러 가려 했는데" 생방중 욕설 정윤정, 홈쇼핑 복귀 | 중앙일보
- "그사세" 탄식 터졌다…평당 2억 넘긴 방 3개 '국평' 아파트 | 중앙일보
- "수미야 어디야?" 53년 절친 김혜자의 문자…며느리 서효림 울었다 | 중앙일보
- 1000도 화마도 버틴다, 만휴정 살린 '기적의 천' | 중앙일보
- "이상한 냄새" 그 집서 60대 시신…입엔 청테이프 붙어 있었다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