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 피해 컸는데”...수영장 10억개 물 증발시킨 화마, 지구촌 덮쳤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경상도를 포함해 전국 곳곳을 화마(火魔)가 휩쓸고 있는 가운데, 국내 연구팀이 지구 토양이 바짝 말라가고 있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연구팀은 위성에서 얻은 전 세계 토양 수분 데이터, 해수면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1976~2016년 사이 지상의 물 저장량(TWS)을 산출했다.
연구팀은 "이런 감소는 강수 패턴 변화와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 상승 탓으로 분석된다"며 "이는 전 세계 평균 해수면 상승 등의 관측결과와도 궤를 같이 한다"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게재
서기원 서울대 지구과학교육과 교수와 류동렬 호주 멜버른대 교수 공동 연구팀은 27일(현지시간) 이 같은 연구결과를 세계적 학술지 ‘사이언스’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21세기에 들어 지상의 물 저장량이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감소했다”며 “현재의 기후 조건에서는 회복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위성에서 얻은 전 세계 토양 수분 데이터, 해수면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1976~2016년 사이 지상의 물 저장량(TWS)을 산출했다.
그 결과, 2000년대 들어 토양의 수분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0~2016년 사이 2623gt의 물이 토양에서 증발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팀은 “이런 감소는 강수 패턴 변화와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 상승 탓으로 분석된다”며 “이는 전 세계 평균 해수면 상승 등의 관측결과와도 궤를 같이 한다”고 설명했다.
토양이 바짝 말라감에 따라 심각한 가뭄의 빈도도 19세 중반 이후 눈에 띄게 증가했다는 분석이다. 연구팀은 “허리케인이나 산불과 같은 급속한 자연재해와 달리 가뭄은 점진적으로 발생해 토양 수분, 지하수 등을 고갈시키고 수년간 지속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문제는 토양의 수분이 연구팀이 연구를 수행할 2021년 당시까지도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었다는 점이다. 연구팀은 “현재 기후 조건에서는 회복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지적하며 “대형 댐이나 관개 시스템 등 인위적 개입을 포함하는 차세대 대응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반갑다 비야”...대형산불 완진 이끈 자연, 조기진화 서포트한 ‘임도’ - 매일경제
- [단독] “우리가 스타벅스 겁내겠나”...세계 2위 커피 프랜차이즈, 본격 가맹사업 - 매일경제
- “보기 싫어”…손 흔드는 이재명 가까워지자 산불 피해 이재민 ‘갑자기’ - 매일경제
- “좋다 말았다, 만약 대통령 되면 난”…이재명 무죄 판결에 김부선이 한 말 - 매일경제
- [속보] 이재용, 시진핑 주최 ‘글로벌 CEO 회동’ 참석 - 매일경제
- [속보] 경북 산불 전체 진화율 94% 도달 - 매일경제
- 대한민국 2위 경제거점 '대전충남특별시'… 내년 7월 출범 - 매일경제
- “제발 당첨되게 해주세요”...청년들 몰려간 이곳, 어디길래 - 매일경제
- “이놈의 대출이자, 나만 힘드냐?”...박 대리에게 물어봤더니 표정이 - 매일경제
- ‘GOAT 라이벌’ 르브론, 조던을 언급하며 코비를 떠올리다…“좋은 관계, BUT 대화는 나누지 않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