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변동성에도 간 큰 서학개미…한은 '경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증시가 올해 들어 높은 변동성을 나타내고 있는 가운데, 한국은행이 이른바 '서학개미'(미국 등 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국내 투자자)를 향해 분산투자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국은행 국제국 해외투자분석팀 이재민 과장·장예진 조사역은 26일 한은 블로그에 게시한 '서학개미, 이제는 분산투자가 필요할 때'라는 글에서 미국 대형 기술주인 '매그니피센트7'(M7)와 레버리지 ETF 등 일부 종목에 대한 과도한 편중을 줄여야 한다고 경고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현경 기자]
미국 증시가 올해 들어 높은 변동성을 나타내고 있는 가운데, 한국은행이 이른바 '서학개미'(미국 등 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국내 투자자)를 향해 분산투자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국은행 국제국 해외투자분석팀 이재민 과장·장예진 조사역은 26일 한은 블로그에 게시한 '서학개미, 이제는 분산투자가 필요할 때'라는 글에서 미국 대형 기술주인 '매그니피센트7'(M7)와 레버리지 ETF 등 일부 종목에 대한 과도한 편중을 줄여야 한다고 경고했다.
한은에 따르면 국내 개인투자자는 지난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해외주식투자를 급격히 확대했다. 개인투자자의 해외주식투자 잔액은 2019년 말 152억달러에서 지난해 말 1천161억달러로, 5년 만에 약 7.6배 불었다.
거주자 해외주식투자 전체 잔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19년 말 4.4%에서 작년 말 15.6%까지 확대됐다.
개인투자자의 해외주식투자는 미국 상장주 중에서도 특정 종목에 쏠린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예탁결제원의 외화증권예탁결제 자료에 따르면 개인투자자 포트폴리오에서의 미국 주식 비중은 2019년 말 58.2%에서 2023년 말 88.5%로 올라갔으며, 지난 18일 기준 90.4%까지 높아졌다.
이들의 투자 상위 10위 종목에는 테슬라, 엔비디아, 애플, 구글 등 M7 종목 대다수와 나스닥100 및 S&P500 지수 등을 추종하는 일반·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 등이 올랐다.
특히 '서학개미'들은 위험 추구 성향이 강한 것으로 분석됐다.
개인투자자 상위 50위 투자종목에는 레버리지 ETF와 인버스 ETF 7개 종목이 포함됐다.
레버리지 ETF는 추종지수 수익률을 2배 이상으로 추종하고, 인버스 ETF는 역의 배율을 추종하는데, 이들은 수익 변동성이 커 단기 수익을 목적으로 리스크를 추구하는 투자자들이 주로 보유한다.
상위 50위 투자종목에 포함된 레버리지ETF와 인버스ETF를 보면, 모두 전체 시가총액 대비 개인투자자의 지분율이 두자릿수를 기록했으며 일부 종목은 40%가 넘었다.
또한 지수가 아닌 테슬라·엔비디아 등 인기 있는 개별종목 수익률을 추종하는 종목에도 개인투자자들이 몰렸다.
최근 S&P500지수는 미국 대선 직후 트럼프 2기 정부 정책 기대감으로 지난달 19일 사상 최고치(종가 6,144.15)를 기록했으나 이후 관세정책과 기업 실적 악화 우려로 하락했다.
그런데도 개인투자자는 미국 주식을 중심으로 해외주식 저가 매수를 이어갔다.
지난달 이후 주가가 하락하는 동안 개인투자자는 45억달러를 순투자했는데, 이중 M7(8억달러), 주요 레버리지 ETF(16억달러) 등 미국 상장주식을 40억달러어치 사들였다.
한은은 불확실성이 증대되는 상황에서 손실을 볼 경우 이를 만회하려면 일정 수준 이상 수익을 오래 쌓아야 한다고 경고했다.
이재민 과장은 "한번 손실을 보면, 회복에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며 "서학개미들이 안정적인 투자 이익을 얻으려면 M7, 레버리지 ETF 등 일부 종목 과도한 편중을 줄이고 위험을 분산하려는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고 강조했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