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널게이트’ 되나…트럼프 “기밀 없다”지만 ‘군사 작전 채팅’ 후폭풍
미 고위 인사들, 유럽 향해 뒷담화…밴스 이견도
“푸틴, 스파이 활동 안 해도 돼 실업자 될 것” 조롱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외교·안보 최고위급 인사들이 민간 메신저 ‘시그널’로 예멘 후티 반군 공급 계획을 논의한 사실이 폭로되면서 후폭풍이 거세게 일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해당 채팅방에서 군사 기밀이 논의되지 않았다며 파문 차단에 나섰지만, 후티 군사 작전에 대한 행정부 내 이견, 유럽에 대한 ‘뒷말’까지 고스란히 노출되면서 미국 언론에서는 ‘시그널게이트’라는 말까지 나온다.
트럼프는 25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진행한 문답에서 “이 정보는 기밀이 아니었다”며 “(후티에 대한) 공격은 완전히 성공적이었다”고 말했다. 트럼프는 “그 앱은 정부의 많은 사람, 언론의 많은 사람이 사용한다”라고도 했다. 이번 사태를 촉발한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의 사과 필요성에 대해서도 “그럴 필요가 없다. 그는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다만 트럼프도 앞서 NBC 방송 인터뷰에서는 “(취임) 2개월 동안 벌어진 유일한 실수(glitch)”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번 사건은 미국 시사지 디애틀랜틱의 제프리 골드버그 편집장이 지난 13일 왈츠 보좌관으로부터 시그널 내에 ‘후티 PC 소규모 그룹’이라는 채팅방에 초대받으면서 불거졌다. 왈츠 뿐만 아니라 J D 밴스 부통령,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 등이 민간 채팅방에서 후티 공격을 논의했을 뿐만 아니라 이 창에 언론인까지 실수로 초대하는 일이 벌어진 것이다.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시그널게이트는 단순한 국가 안보의 심각한 위반 그 이상이다. 모든 정부에 있어 가장 위험한 ‘무능함’이라는 혐의를 제기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백악관 관계자를 인용해 “백악관 내의 모든 사람이 ‘왈츠는 멍청한 놈’이라는 사실에 동의한다”고 전했다.
후폭풍은 계속됐다. 하킴 제프리스 민주당 하원 원내대표는 해당 채팅창에서 군사 정보를 세세하고 공유한 헤그세스 국방장관 해임을 촉구했다. 그는 트럼프에게 보낸 편지에서 “헤그세스는 역사상 가장 자격이 없는 국방장관”이라며 “그가 국방장관직을 계속 유지하는 것은 미국 안보를 위협하고 우리 군인들을 위험에 빠트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의원들도 이날 상원 정보위원회에서 이번 사태에 대해 질타했다. 마크 워너 상원의원은 “(이번 사태는) 모든 절차를 위반했을 뿐만 아니라, 이 정보가 유출됐다면 미국인의 생명도 위험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존 오소프 상원의원은 해당 채팅방에 있었던 존 랫클리프 중앙정보국(CIA) 국장을 향해 “이번 실수의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며 “우리는 이 사건에 대한 전체 기록을 확보할 것이며, 여러분의 증언은 그 내용에 따라 신중하게 평가될 것”이라고 했다.
해당 채팅창에서는 밴스 부통령이 후티 공격에 대해 반대하는 듯한 발언을 하는 등 이견도 노출됐다. 밴스는 예멘 후티 공습 시점에 대해 “실수”라고 지적하며 “나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것(공습)이 유럽에 대한 그의 메시지와 얼마나 모순되는지에 대해 알고 있는지 모르겠다”고 적었다. 그러면서 후티 공습과 관련해 “나는 유럽인들을 또 구제하는 것이 싫다”고 했다.
헤그세스 장관은 후티 공습의 필요성을 설명하면서도 “유럽의 무임승차에 대한 당신의 혐오감을 전적으로 공감한다. 정말 한심하다”고 맞장구치기도 했다.
민감한 군사정보가 민간 메신저 앱에서 논의되는 것이 황당하다는 비판도 이어졌다. 벤 호지스 전 유럽주둔 미군 사령관은 뉴욕타임스에 “(군사 정보 유출이) 동맹국들이 분석과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매우 꺼리게 할 것”이라며 “사람들은 미국을 믿을 수 없다고 생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나탈리 루아조 유럽의회 의원은 ‘엑스’에 “푸틴은 이제 실업자다. 스파이 활동이 이제 의미가 없기 때문”이라며 미국 고위 인사들의 정보 유출을 꼬집었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럼프 “상호관세 면제 줄 수도”… 각국 투자협상 러시
- 현대차 美에 31조 투자… “성공적 쇼케이스” 평가
- 현대차 새 공장 초청에… 트럼프 “오케이”
- 아동 상품화 논란 ‘언더피프틴’, 오해라지만…“대중 감수성 간과”
- “흑백사진인 줄”…미세먼지에 갇힌 한반도[포착]
- 생후 5개월 아기 흔들어 ‘뇌출혈 사망’…20대 엄마 체포
- [단독] 北, 전력난 허덕이면서… 버젓이 ‘평양 전기버스’ 공개
- [이명희의 인사이트] 이재명이 대통령 되려는 이유
- 임플란트하면 끝? 주위염 심할땐 제거해야… 흡연, 위험 5.9배↑
- 의성 산불 실화 혐의 성묘객 입건 방침…“불 끄는 대로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