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짝 마른 영남, 위성사진 보니... 곳곳에 산불 연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국적으로 산불 피해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인공위성으로 산불 피해를 분석한 결과가 나왔다.
위성 토탈 솔루션 기업인 텔레픽스는 지난 21일부터 23일까지 전국적으로 발생한 산불을 촬영한 위성 데이터 분석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위성으로 분석한 결과, 22일 오전 11시 15분 기준 산청군의 산불 피해 면적은 5.48㎢로 추산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동시다발 산불 원인은 기후변화
위성 토탈 솔루션 기업인 텔레픽스는 지난 21일부터 23일까지 전국적으로 발생한 산불을 촬영한 위성 데이터 분석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천리안 해양관측위성(GOCI-Ⅱ)와 유럽우주국의 센티넬2가 촬영한 한반도 위성 사진을 분석했다.
텔레픽스가 공개한 한반도 사진에 따르면, 총 3개 지역에서 뿌연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이 기간에 발생한 48건의 산불 중에서도 경상남도 산청군, 경상북도 의성군,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피해 상황이 큰데, 이 지역의 산불 연기가 위성에 포착된 것이다.
위성으로 분석한 결과, 22일 오전 11시 15분 기준 산청군의 산불 피해 면적은 5.48㎢로 추산됐다. 24일 오후 6시 기준 의성군은 약 108.47㎢, 울주군은 약 4.56㎢ 규모의 피해를 입었다. 이 면적만 합쳐도 여의도 14배에 달하는 크기다.
대규모 산불이 발생한 원인은 영남 지역이 평년보다 건조했던 때문으로 추정된다. 텔레픽스 산하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한 연구소’는 “지난해 3월과 비교했을 때 올해 영남 지역은 전반적으로 습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자동기상관측장비로 수집한 데이터에 따르면, 의성군의 습도는 23% 수준으로 매우 건조한 상태였다. 산불 피해가 심한 의성군 안계면의 토양도 전년보다 더 건조한 양상을 보였다.
최근 산불이 잦아지고 대형화되는 이유로는 기후변화가 꼽힌다. 김지희 텔레픽스 영상과학연구팀장은 “2020년대 들어 산불 발생 건수와 피해 면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이번 산불은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추정해 과거 기후와의 연관성을 내부적으로 추정 중”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속보] 명일동 싱크홀 매몰자 심정지 상태로 발견 - 매일경제
- 정의선 “美에 31조원 투자”...트럼프 “현대차, 관세 없다” - 매일경제
- ‘삼성TV 세계 1위 주역’ 한종희 삼성전자 대표·부회장 별세 - 매일경제
- “스팸문자 진짜 차단한다고?”… 갤럭시 S25부터 적용한다는데 - 매일경제
- “기장인데 여권이 없네”…2시간만에 6천만원 날린 ‘황당 회항’ - 매일경제
- “너무 많이 당한다”...노인 ATM 사용 제한 검토하는 이 나라, 무슨 일 - 매일경제
- “日 스타벅스선 65세까지 일할수 있는데”...59세 바리스타가 잠못드는 까닭은 - 매일경제
- 오늘의 운세 2025년 3월 25일 火(음력 2월 26일) - 매일경제
- ‘19년연속 삼성TV 세계 1위 주역’...한종희 부회장 심장마비로 별세 - 매일경제
- 배지환, 시범경기 최종전 볼넷에 득점...타율 0.381-득점 리그 공동 5위로 마무리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