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체율에 카드론까지 43조원 사상최고치…암울한 카드업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카드업계 수익성에 비상등이 켜졌다.
23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9개 카드사(롯데·BC·삼성·신한·우리·하나·현대·KB국민·NH농협카드)의 2월 말 카드론 잔액은 42조 9888억원으로 집계됐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8개 전업카드사(삼성·신한·현대·KB국민·우리·하나·롯데·BC카드)의 연체율은 지난해 말 1.65%를 기록했다.
즉 카드업계 수익이 매년 8100억원 줄었다는 의미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작년말 연체율 1.65%…2014년 이후 10년 만에 최고치
수수료 인하 속 건전성 악화에 이중고
[이데일리 송주오 기자] 카드업계 수익성에 비상등이 켜졌다. 연체율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카드론마저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다. 카드론은 고이율 상품으로 수익성을 극대화할 수 있지만, 그만큼 연체율 상승으로 이어져 건전성 악화의 주범으로 꼽힌다. 대다수 이용자가 상환여력이 낮은 차주이기 때문이다.
더 심각한 것은 카드론을 갚지 못해 카드론을 받은 카드사에서 다시 대출을 받는 대환대출도 늘고 있다는 점이다. 대환대출 잔액은 1조6843억원으로 1월 말(1조6110억원)과 비교해 733억원 늘었다. 결제성 리볼빙 이월잔액 역시 7조 613억원으로 전월(7조 522억원)보다 소폭 증가했다.
지난 2월 카드론 평균 금리는 연 13.08%로 기준금리(2.75%)의 5배에 육박한다. 최고 금리는 연 19.42%다.
고이율 상품의 이용 증가는 건전성을 악화시킨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8개 전업카드사(삼성·신한·현대·KB국민·우리·하나·롯데·BC카드)의 연체율은 지난해 말 1.65%를 기록했다. 이는 2014년(1.69%) 이후 10년 만에 최고치다. 연체율은 2022년부터 3년 연속 상승세를 그리고 있다. 연체율은 카드 대금, 할부금, 리볼빙, 카드론, 신용대출 등의 1개월 이상 연체율을 말한다.
카드업계는 수익성 악화에 건전성 지표마저 취약해지면서 이중고를 겪고 있다. 올해부터 신용카드 수수료율은 연매출 10억원 이하 영세·중소가맹점은 0.1%포인트, 연매출 10억∼30억원 이하 중소가맹점은 0.05%포인트를 각각 인하했다. 카드 수수료율은 2007년 이후 17년 간 15차례 인하했다. 적격비용 산정제도가 도입된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영세·중소가맹점이 경감받은 수수료 규모는 9조 7200억원으로, 연평균 8100억원 수준이다. 즉 카드업계 수익이 매년 8100억원 줄었다는 의미다. 올해 수수료가 또 내려가면서 매년 3000억원의 수익이 감소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런 탓에 카드사들의 순익은 둔화되는 추세다. 지난해 전업카드사의 총 순익은 2조 5910억원으로 전년대비 0.3% 증가하는 데 그쳤다. 2022년(2조6062억원)과 비교하면 순익은 오히려 줄었다.
여기에 최근 카드업계가 애플페이 도입을 확대하고 있고, 삼성페이의 수수료 유료화 전환도 부각되면서 비용은 늘어날 전망이다.
송주오 (juoh413@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7년생 정동원, 강북 타워팰리스 산다…“20억원에 한강뷰”[누구집]
- "잊힐까 두렵다"...'증발'한 신혼부부, 9년째 미스터리 [그해 오늘]
- "말이 안 돼" AI도 놀랐다…백종원 이번엔 빽다방 '당 폭탄' 구설[먹어보고서]
- '햄스트링 부상' KIA 김도영, 큰 부상 피했다...한 달 이내 복귀 가능
- '세탁기 뚜껑'은 다 알고 있었다..."성폭행 안 했다"던 남성의 최후
- 김수현, 하의실종 사진 공개에 결국 김새론 유족 고발[이주의 인물]
- 아들에 아파트 주고 주소 옮겼는데…‘꼼수 탈세’ 걸린 사연[세금GO]
- "그 많은 어른 중 단 한명도"...13살 여학생들에 성병까지 옮긴 '헬퍼'
- 美 그랜드 캐니언 여행 한국인 가족 3명 열흘째 연락두절
- "애국이야 좌파야?"…헌재 앞 식당 낙인 찍기, 사장님들 한숨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