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열대 물고기 나타나는 제주에서 '기후 변화' 대응 논의를 [파도타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여름철 고수온과 더 잦아지는 풍랑 경보 등으로 인해 우리 연근해의 조업 환경이 바뀌고 있다.
그동안 익숙했던 어종이 사라지고, 남해에선 아열대어가 발견되는 등 지역마다 다른 현황을 파악하고, 맞춤형 대응 방법을 찾기 위해 해양수산부는 전국을 돌고 있다.
우리나라 최남단인 제주도는 기후변화에 따른 수산자원의 변동이 많은 지역이다.
지난해에도 이미 고수온으로 인해 역대급 양식 피해를 겪었던 만큼, 올해 주요 업무 계획에도 기후 변화 대응을 담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국 권역별 돌며 지역 상황 확인해 대응 방안 논의
지역 어업인, 지자체 등 적극 참여해 아이디어 발굴
[세종=이데일리 권효중 기자] 여름철 고수온과 더 잦아지는 풍랑 경보 등으로 인해 우리 연근해의 조업 환경이 바뀌고 있다. 그동안 익숙했던 어종이 사라지고, 남해에선 아열대어가 발견되는 등 지역마다 다른 현황을 파악하고, 맞춤형 대응 방법을 찾기 위해 해양수산부는 전국을 돌고 있다.
우리나라 최남단인 제주도는 기후변화에 따른 수산자원의 변동이 많은 지역이다. 제주에서는 그간 참조기가 많이 잡혔는데, 참조기 어획량은 2020년 1만 2973t이었던 것이 최근 4000t대로 줄었다. 또 그간 잡히지 않았던 아열대성 어종인 호박돔, 아홉동가리, 황놀래기 등이 나타나고 있다. 앞으로도 고수온이 이어진다면, 이들 어종이 토착종이 돼 어민들의 새로운 수입원이 될 가능성도 높다.
연안 어업 외 제주도의 양식업도 영향이 있을 수 있다. 국내에서 양식되는 광어 중 52.5%(약 2만 1000t)은 제주도에서 생산된다. 주로 육상 수조에서 양식되지만, 양식을 위해 바닷물을 끌어다 써야 하는 만큼 고수온은 앞으로 양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로 거론된다.
앞서 국내 수산물의 대부분을 생산하는 전남에서도 지역 특색에 맞춘 논의가 이뤄진 바 있다. 전남은 전국 수산물 생산량의 약 58.8%가 생산되고 있으며, 전복과 김 등 양식 수산물 생산량은 전체의 76%에 달할 정도로 그 비중이 높다. 이에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정책 마련이 가장 시급한 곳 중 하나다.
해수부는 지역 어업인들의 의견을 듣고, 지자체의 정책 및 사업 아이디어 건의를 받고 있다. 현재 설정된 금어기를 조정하거나, 수온 변화로 인한 양식장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월동장과 월하장 마련 등에 대한 제안이 현장에서 나왔다.
이처럼 기후 변화 대응은 지속 가능한 수산업과 어촌 유지를 위해 필수적인 과제가 됐다. 지난해에도 이미 고수온으로 인해 역대급 양식 피해를 겪었던 만큼, 올해 주요 업무 계획에도 기후 변화 대응을 담았다.
해수부는 어획량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총허용어획량(TAC) 제도, 할당 쿼터 내 어획량을 거래하는 양도성 개별 할당제(ITQ) 등을 확대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자조금 지원과 정확한 기상·수산정보 제공 등 탄력적인 대응도 제공하기로 했다.
한편 해수부는 제주에 이어 이달 전북과 충남, 강원·경북·울산을 찾는다. 이어 4월에는 경기·인천, 부산·경남을 방문해 순차적으로 전국을 찾을 계획이다.
권효중 (khjing@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尹 구속 취소에 지지자들, 구치소· 관저 몰려가…"즉각 석방" 구호
- 장제원 측 "비서에 여자친구 제안? 인격살해 행위 멈춰라"
- 윤측 "대통령 석방해야…檢 불법구금 책임 물을 것"
- "화교"라더니 "애국 판사"…‘尹 석방’ 지귀연 부장판사는 누구?
- "재력 있고 능력 있는 가해자"…'시속 229km' 사망사고 형량은? [그해 오늘]
- '주유소 날릴 뻔'...주유건 꽂은 채 도로 나온 50대 여성, 그 이후
- "시아버지가 이철규 의원"...며느리도 '대마 의혹' 입건
- 산부인과 내진 중 엄마 성폭력한 의사 '징역 3년'
- 이재명 "檢의 산수 실수…그래도 헌재 판단 영향 없을 것"(상보)
- 강풍에 잘 버틴 윤이나, 공동 15위로 LPGA 투어 첫 ‘컷 통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