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관 나서도 안 된다… 가격 줄인상, 저소득층 부담 40%↑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비상계엄과 탄핵정국이라는 대내적 상황, 고환율과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이라는 대외적 변수가 서민 먹거리 물가를 흔들고 있다.
국내 식품·외식업계는 줄줄이 가격 인상을 발표하면서 서민 부담이 커지고 있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도 식품업체들의 가격 인상 릴레이가 이어졌었다.
윤석열 정부는 2023년부터 먹거리 물가를 잡기 위해 식품·외식기업 고위 관계자를 연달아 만나 가격 인상 자제를 요청했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식품·외식업계 도미노 가격 인상
소득 1분위 월평균 식비 43.4만원
비상계엄과 탄핵정국이라는 대내적 상황, 고환율과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이라는 대외적 변수가 서민 먹거리 물가를 흔들고 있다. 국내 식품·외식업계는 줄줄이 가격 인상을 발표하면서 서민 부담이 커지고 있다. 최근 5년 소득 하위 20%의 식비 부담은 40% 가까이 늘어났다. 삶의 질을 낮추는 먹거리 물가 부담이 끊이지 않는 형국이다.
2일 식품·외식업계에 따르면 CJ푸드빌이 운영하는 뚜레쥬르는 빵과 케이크 110여 종 가격을 약 5% 올렸다. 데일리우유식빵과 단팥빵은 각각 3600원, 1900원으로 100원씩 올랐다. 지난달에는 SPC그룹 파리바게뜨와 던킨이 제품 가격을 약 6%씩 인상했다. 원두 가격 상승에 따라 배스킨라빈스도 오는 4일부터 아메리카노 가격을 400원 올린다. 지난 1월 스타벅스 코리아와 할리스, 폴바셋도 메뉴 가격을 올렸다. 치솟은 국제 원두 가격과 높은 환율이 비용 부담을 압박한 탓이다. 빙그레는 이달 내에 더위사냥, 붕어싸만코 등 아이스크림과 일부 커피 음료 가격을 200~300원 올린다는 계획이다.
일각에서는 어수선한 정국을 틈타 식품 가격을 인상한다는 비판이 나온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도 식품업체들의 가격 인상 릴레이가 이어졌었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지난 11일 국내 주요 식품기업 대표와 임원들을 만나 가격 인상을 정부와 협의해달라고 요청했으나 통하지 않는 모양새다.
먹거리 가격 인상은 저소득층의 삶을 위협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소득 하위 20% 가구의 식비 부담은 월평균 43만4000원이었다. 지난해 소득 하위 20% 가구(1분위)의 식비 부담은 5년 전보다 38.6% 증가했다. 2019년 31만3000원, 2020년 34만2000원, 2021년 37만6000원, 2022년 39만9000원, 2023년 40만600원으로 가파르게 증가해 왔다. 전체 가구의 식비가 2019년 66만6000원에서 지난해 84만1000원으로 17만5000원(26.3%) 늘어난 데 반해 1분위 증가세는 평균 대비 1.5배 가까이 높았다.
식품업계는 무엇보다 고환율 국면을 더는 버틸 수 없다는 입장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의 물가안정 협조 요구에 계속해서 응해왔다”며 “시장경제 논리가 아닌 정부 정책에 따라 판매가를 규제하는 것은 지금 같은 고환율에 한계”라고 말했다. 윤석열 정부는 2023년부터 먹거리 물가를 잡기 위해 식품·외식기업 고위 관계자를 연달아 만나 가격 인상 자제를 요청했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거 구하려 오픈런…美 난리였던 그 MZ템, 한국 온다
- [르포]‘스틱차’ 즐비한 스페인 기아 대리점… 한국과 다른 유럽의 車선택 기준
- 젤렌스키에 “정장없나” 비꼰 기자, 친트럼프 의원 남친
- 부동산, 다져지는 양극화… 강남 폭등
- 한국 시장 만만하게 봤나… 예약 받고 인도 못 하는 BYD
- 이수지의 ‘대치맘’ 패러디, 풍자일까 조롱일까…“풍자엔 철학과 기준 필요”
- 북 “백두산 스키 바람” 연일 선전… 관광 외국인들은 “암울한 광경”
- 장관 나서도 안 된다…식품 가격 줄인상, 저소득층 부담 40%↑
- ‘오세훈이 쏘아올린 공’?… 강남3구 폭등, 마용성도 꿈틀 “초양극화 우려”
- 박사 학위는 빛 좋은 개살구? 셋 중 하나 백수, 청년 절반 무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