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 쇼크’ 샘 올트먼 “다른 오픈소스 전략 필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판 챗GPT' 딥시크 충격파를 맞은 '원조 챗GPT'의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오픈소스 관련 전략 변경을 시사했다.
오픈AI를 이끄는 올트먼 CEO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인공지능(AI) 모델 관련 기술 일부를 공개하고 연구 결과 발표를 늘릴 가능성을 내부적으로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역사의 잘못된 편에 서 있었다”
빅테크 ‘혁신’ 인정하며 경계심
日, 공기관 ‘딥시크’ 사용 금지령
기존 미국 주도 AI 업계에서 빅테크(거대 기술) 기업들은 부분적으로 오픈소스 방식을 택한 메타플랫폼(페이스북 모회사) 정도를 제외하면 자사 모델에 대한 정보 공개를 꺼려왔다. 오픈AI 역시 2015년 창사 당시에는 공익에 부합할 경우 연구 결과와 데이터를 공개하겠다고 했지만 이후 경쟁 격화와 안전상 위험을 이유로 입장을 바꾼 상태다.
오픈AI를 공동 설립했지만 2018년 관계를 정리한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오픈AI가 설립 초기의 비영리 사명 및 오픈소스 계약을 위반했다며 소송도 제기했다.
이런 가운데 오픈소스 방식을 채택해 누구나 자유롭게 기본 코드 등을 바꿀 수 있도록 한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의 AI 모델 ‘R1’ 출시는 시장에 파장을 일으켰다.
경쟁 상대인 기존 빅테크들은 잇따라 딥시크가 “혁신”이라고 인정하면서도 경계심을 드러내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MS) 사티아 나델라 CEO는 딥시크에 대해 “진정한 혁신을 보여주고 있다”면서도 “(딥시크 등장은) AI 발전이 기존 컴퓨팅 기술 발전과 유사한 과정을 거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했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성능은 향상되고 비용은 낮아지는 일반적인 패턴을 따르는 것이라고 강조하며 애써 딥시크의 ‘저비용 고성과’의 의미를 축소한 셈이다.
세계 각국도 중국 AI 기술에 대한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 일본 NHK는 다이라 마사아키(平?明) 디지털상이 딥시크와 관련해 “개인 정보가 제대로 보호되는지 문제”라며 우려가 불식되기 전까지는 공무원이 사용하는 것을 삼가라고 주문했다고 전했다.
김예진 기자 yejin@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미쳤다’ 소리 들었는데…“현금 1억이 30억 됐네요”
- “부자는 다르네”…1000억 재산 서장훈, 이상민 재혼에 건넨 통 큰 축의금 액수
- 중2 딸 입에서 나던 사탕 냄새…알고 보니 전자담배?
- 정우성, 혼외자 출산 문가비 아닌 연인과 혼인신고?…소속사 "확인 중"
- “시아버지와 혼인신고 X족보 됐다”...안동서 실제 벌어진 일
- 꽁꽁 숨겼던 조세호 아내 얼굴 공개됐다...174cm 슈퍼모델 출신
- “여관 골방에 살았다”…홍자, 가족 위해 버틴 무명 8년 고백
- 결별하자마자 열애설 터진 이미주, 전남친 충격 만행 폭로
- 남편 도경완 불치병 진단 3달 만에 장윤정도 시술…이게 다 무슨 일?
- “이규혁한테 속았다, 결혼 후회” 손담비, 눈물 쏟으며 밝힌 남편 ‘만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