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4000권 읽었더니 하는 일마다 대박”…이젠 유재석도 안 부럽다는 이 개그맨

김재현 기자(jhkim@mk.co.kr) 2025. 1. 30. 20:1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베스트셀러 작가 겸 개그맨 고명환 인터뷰
고명환 개그맨 겸 작가가 환하게 웃으며 포즈를 취하고 있다. [한주형 기자]
노벨문학상을 받은 한강 작가와 어깨를 나란히 한 개그맨이 있다. MBC ‘와룡봉추’로 이름을 알린 고명환 작가(52)다. 그는 3년 전부터 하루도 빠짐없이 “나는 베스트셀러 작가가 됐다”고 버릇처럼 되뇐다. ‘될 것이다’가 아니라 ‘됐다’고 확신을 담아 외친다. 그러자 그의 언어는 현실이 됐다. 고 작가는 지난해 교보문고에서 뽑은 ‘올해의 작가’에 한강 작가와 공동 선정됐다.

고 작가는 최근 매일경제와 만나 “이제야 진정한 작가로 인정받은 것 같다”며 옅게 웃었다. 고 작가는 책을 읽다가 생각이 떠오르면 곧장 실천해, 그 과정과 결과를 글로 쓴다. 경험이 풍성하니 읽는 사람도 이해하기 쉽다. 거기에 개그맨 출신다운 재치 있는 입담을 얹는다. 고 작가의 책을 읽고 실제로 따라해봤다는 독자가 유독 많은 까닭이다. 인기에 힘입어 지난해 쓴 ‘고전이 답했다: 마땅히 살아야 할 삶에 대하여’는 출간 3개월 만에 10만부가 팔렸다. 일본 등 5개국에 번역 출간되기도 했다.

고명환 개그맨 겸 작가가 포즈를 취하고 있다. [한주형 기자]
“작가가 되는 삶은 상상조차 안 했다”는 고 작가의 삶이 송두리째 바뀐 계기는 2005년에 일어난 교통사고였다. 의사가 유언을 남기라고 할 만큼 상태는 위급했다. 당시 기적처럼 살아났을 때 고 작가가 집어든 건 책이었다. 어떻게 살아야 할까,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서였다. 그렇게 읽기 시작한 책이 어느덧 3000권을 훌쩍 넘어 4000권을 향해 간다.

고 작가는 독서를 해야 내 한계를 깨고 성장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책을 읽고, 질문하고, 생각하는 과정을 반복할수록 확신이 생긴다는 설명이다. 확신은 곧 행동으로 이어진다. 이와 같은 선순환을 깨달으면 남에게 끌려다니는 삶에서 벗어나게 된다.

“한국인들은 스스로를 너무 과소평가해요. 예를 들면 ‘난 연봉 5000만원짜리’라고 가둬두는 거죠. 연봉 1억, 5억 받는 삶에 대해 생각조차 하지 않아요. 그런데 내가 지금보다 연봉을 두 배 더 벌 수 있다고 믿으면 우리 뇌는 그 방법을 찾기 위해 움직이거든요. 우리는 우리를 더 과대평가해야 합니다.”

실제로 고 작가 역시 유재석처럼 성공한 개그맨을 꿈꿨다. 밤낮없이 행사를 뛰었다. 그러나 교통사고 이후 책을 읽으며 남들이 정해놓은 길에서 벗어나야겠다고 마음먹었다. 평소 자신이 하고 싶었던 일에 뛰어들었다. 그 결과 요식업 CEO와 강연가, 작가로 모두 성공을 거뒀다. 고 작가는 “돈을 좇지 않았더니 오히려 돈이 따라오더라”며 웃어 보였다.

고명환 개그맨 겸 작가가 매일경제와 인터뷰하고 있다. [한주형 기자]
다만 고 작가는 책을 읽고 생각만 하는 데서 그치면 안된다고 힘주어 말했다. 그는 “모든 사람이 유튜브 찍어서 돈 벌고 싶어하지만 행동으로 옮기지 않는다”며 “가만히 앉아서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꾸준하게 반복해야 차이가 생기고, 그 차이가 나만의 개성을 만든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일단 팔굽혀펴기를 하는 영상이라도 매일 찍어서 올려보라고 조언했다.

유튜브가 책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을까. 고 작가는 단호한 표정으로 아니라고 답했다. 유튜브처럼 일방적으로 주입하는 방식으로는 진짜 창의력이 생기지 않는다. 물론 아이디어가 번뜩일 수는 있지만 동력이 약하다. 직접 생각하고 자발적으로 깨달아야 지혜라고 부를 수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결국 독서를 통해 꾸준하게 질문을 던져야 계속 성장할 수 있다는 의미다.

독서는 단골 새해 목표 중 하나다. 고 작가는 더도 말고 하루에 딱 10쪽 읽는 걸로 시작해보라고 조언했다. 그러나 책을 읽은 후엔 반드시 산책을 하라고 덧붙였다. 그래야 생각 저편에 흐르고 있던 아이디어가 문득 튀어나온다고 강조했다. 또 여러 권을 동시에 읽는 병렬독서도 추천했다. 고 작가는 “내용이 헷갈릴 것 같지만 ‘엉망진창의 힘’이 오히려 창의적인 생각을 만든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고명환 개그맨 겸 작가가 책을 든 채 포즈를 취하고 있다. [한주형 기자]
어떤 책으로 독서를 시작해야 하는지도 중요하다. 고 작가는 “고민거리를 한 문장으로 만들고, 관련된 책을 읽어보라”고 권했다. 그 역시 갓 스무 살이 됐을 때 내성적인 성격으로 골머리를 앓았다. 그러던 중 서점에서 이시형 박사가 쓴 ‘배짱으로 삽시다’를 발견했다. “그 책을 읽고 하루 만에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될 수 있었다”며 고 작가는 미소를 보였다. 그렇게 독서를 시작하면 자연스럽게 다른 책에도 관심이 생긴다고도 덧붙였다.

고 작가는 올해 또 다른 책을 출간 준비 중이다. 그는 인터뷰 전날에도 원고를 썼다며 “이번엔 마땅히 가져야 할 부(富)에 대해 다뤄보려고 한다”고 귀띔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