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줄에 묶인 채 ‘벌벌’…‘괴물 산불’에 홀로 남겨진 반려견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영남권 산불이 지난 21일부터 닷새 째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반려견들이 목줄에 묶여 대피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
26일 동물보호단체 '위액트(WEACT)'는 지난 23일부터 산불이 발생한 경북 지역에서 동물 구조 작업을 벌이고 있다.
산불이 발생할 경우 동물과 함께 대피하는 게 좋지만, 긴급한 상황에서는 최소한 동물의 목줄이나 사육되고 있는 우리의 문을 열어둬야 동물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6일 동물보호단체 ‘위액트(WEACT)’는 지난 23일부터 산불이 발생한 경북 지역에서 동물 구조 작업을 벌이고 있다.
단체는 “산불 발화 지점부터 수색을 시작해 인근 대피소를 찾아가 주민분들께 미처 대피하지 못한 동물이 있는지 확인했다”고 밝혔다 .
구조 현장을 담아 게재한 영상에는 빈 창고, 고무통 등에 목줄이 채워져 홀로 남겨진 강아지들의 모습이 담겼다.
그들은 “길은 이미 쓰러진 나무들로 막혀 있었고, 산 중턱 전신주에선 전깃줄이 타들어가며 스파크가 튀고 있었다”며 “불꽃 아래로 고무가 녹아 떨어지는 틈을 숨도 못 쉰 채 헤치며 강아지를 안고 미친 듯이 뛰어 내려왔다”고 밝혔다.
또 “아직 위액트의 구호 활동은 끝나지 않았다”며 “단 하나의 생명이라도 살릴 수 있다면 어디든 달려가겠다”고 전했다.
대형 산불이 발생하면 반려견의 목줄을 미처 풀어주지 못해 동물이 다치거나 죽는 경우가 많다.
산불이 발생할 경우 동물과 함께 대피하는 게 좋지만, 긴급한 상황에서는 최소한 동물의 목줄이나 사육되고 있는 우리의 문을 열어둬야 동물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다만 재난 시 대피소에는 통상 반려동물을 동반할 수 없어, 집을 잃은 주민들이 반려동물을 데리고 마땅히 대피할 곳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지난 2023년 강원 강릉 산불 당시에는 소방대원들이 긴박한 진화 작업 도중에도 주인을 잃은 반려동물의 목줄을 풀어 반려동물의 피해가 크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산불 현장에서 구조된 개들은 산소 결핍 증세를 보여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고 있다. ‘위액트’는 “긴급재난 대피 시 반려동물을 동반할 수 없는 현실이 너무나 씁쓸하다”라고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2년부터 반려동물과 주인이 함께 대피할 수 있는 ‘동반 대피소’ 지정을 추진 중이지만, 사실상 사업이 중단된 것으로 나타났다.
농식품부는 2022년 ‘반려동물 가족을 위한 재난 대응 가이드라인’을 처음으로 마련하면서 지자체에 ‘동반 대피소’를 지정해달라는 공문을 발송한 바 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돌려막아도 역부족”…13년 장수 프로그램 하차 소식 최은경, 깜짝근황 - 매일경제
- [속보] 경북 북부권 휩쓴 의성 산불...사망자 15명으로 늘어 - 매일경제
- “대출 한 푼 아쉬워 지인들에 손 벌리는데”…부부은행원, 882억 부당대출 - 매일경제
- 오늘의 운세 2025년 3월 26일 水(음력 2월 27일) - 매일경제
- “69대1 경쟁률 뚫었어요”...최대 15억원 받는 새내기 기업들, 세계로 간다 - 매일경제
- “가격 실화인가” 1등급 한우가 글쎄...파격 할인 나섰다는 롯데마트 - 매일경제
- “얼마나 무서웠을까”...밤중 황급히 대피하려다 산불 사망·실종자 늘어 - 매일경제
- “자기야, 여기는 꼭 들려야돼”...젊은이들 필수코스로 뜬다는 공항 팝업 - 매일경제
- 한국車는 왜 이렇게 못 만드나…차라리 타지마라, 못사면 ‘고통폭발’ 일본차 [최기성의 허브
- 다시 보여준 ‘무’기력함, 5분만 좋았다…선제골 못 지킨 홍명보호, 요르단과 1-1 무승부 [MK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