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이상민 “국무위원 전원 계엄 반대했다”…윤석열 버리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12월3일 밤 비상계엄을 선포하기 전 열린 국무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최측근이었던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이 "국무위원 전원이 반대하고 있다"며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만류했던 것으로 30일 파악됐다.
또한 윤 대통령은 당시 국무회의도 거치지 않고 비상계엄을 선포하려고 했는데 한 총리의 설득으로 국무회의를 열었고, 당시 국무위원들은 '국무회의를 열면 대국민 담화 시간도 늦출 수 있고 그 시간 동안 윤 대통이 비상계엄에 대해 다시 생각해볼 것'이라는 기대를 했다는 이 전 장관의 진술도 경찰은 확보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12월3일 밤 비상계엄을 선포하기 전 열린 국무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최측근이었던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이 “국무위원 전원이 반대하고 있다”며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만류했던 것으로 30일 파악됐다. 실질적인 안건 심의 없이 요식행위로 회의가 소집되고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까지 선포하자 국무위원들은 ‘정상적인 국무회의로 볼 수 없다’는 의견도 나눴다고 한다.
이 전 장관은 지난달 16일 경찰 조사에서, 비상계엄 계획을 알게 된 국무위원들이 이를 반대하자 비상계엄을 선포하기 직전 윤 대통령에게 “진짜 안된다. 국민들이 납득할 수 없다. 국무위원 전원이 반대하고 있다”며 말렸다고 진술했다. 그러나 윤 대통령은 이를 묵살하고 비상계엄 선포를 강행했다.
“국무위원 전원이 반대”했다는 이 전 장관의 진술은 “(국무회의에서 비상계엄에) 동의한 국무위원이 있었다”는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헌법재판소 진술과도 배치된다. 지난달 5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국무회의에서) ‘반대’라는 표현을 쓴 분은 두어명 정도 있었던 걸로 기억한다”며 반대 의견이 많지 않았다는 취지의 본인 발언과도 다른 내용이다. 12·3 국무회의에 참석한 국무위원은 11명이다.
이 전 장관은 당시 국무회의에서 ‘안건제안, 제안이유 설명, 안건토의, 의결과정이 있었느냐’는 경찰의 질문에 모두 “없었다”고 답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전 장관은 경찰 조사에서 국무회의 성립 여부에 대해 “사법적 판단을 받아야 할 사안”이라고 진술했다.
경찰은 또 비상계엄 선포 직후 몇몇 국무위원들이 ‘실제 국무회의가 열린 것으로 볼 수 있느냐’며 당혹스러워 했다는 진술도 확보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도 이날 국무회의를 합법적인 절차로 볼 수 있는지 관련 판례들을 찾아보라고 이 장관에게 지시했다고 한다. 12·3 비상계엄 선포가 절차적 적법성조차도 확보되지 못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정황이다.
또한 윤 대통령은 당시 국무회의도 거치지 않고 비상계엄을 선포하려고 했는데 한 총리의 설득으로 국무회의를 열었고, 당시 국무위원들은 ‘국무회의를 열면 대국민 담화 시간도 늦출 수 있고 그 시간 동안 윤 대통이 비상계엄에 대해 다시 생각해볼 것’이라는 기대를 했다는 이 전 장관의 진술도 경찰은 확보한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은 윤석열 대통령이 “22시에 케이비에스(KBS) 생방송으로 (비상계엄을) 발표한다. 이미 다 불러놨다“며 비상계엄 선포를 서둘렀다는 국무위원 진술도 확보했다. 밤 10시가 되자 윤 대통령이 이 전 장관에게 “국무위원이 다 왔느냐“고 물었고 “다 도착하지 못했다“고 답하니 윤 대통령은 “22시에 (브리핑룸에) 내려가야 하는데“라고 말했다는 것이다. 비상계엄 선포문에 명시한 ‘12월 3일 22시‘에 계엄을 실행하기 위해 급하게 서둘렀던 정황인 셈이다.
한편, 이 전 장관은 경찰 조사에서 12·3 비상계엄 당시 한겨레 등 언론사에 단전·단수를 지시한 사실은 숨겼다. ‘비상계엄 선포 직후 허석곤 소방청장과 통화하며 무엇을 지시했느냐’는 경찰의 추궁에 이 전 장관은 “사건사고 들어온 것이 있냐, 국민들 안전을 각별히 챙겨달라고 말한 것”이라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오연서 기자 loveletter@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속보] 윤석열 내란 사건, 김용현·조지호·노상원과 같은 재판부 배당
- 전광훈 광화문파 vs 손현보 여의도파 갈등…음모론 부메랑 맞은 극우
- 최상목, 두번째 내란특검법 거부…“대통령 기소돼 필요성 없어”
- 이민자 손·발에 진짜 족쇄 채운 트럼프 [포토]
- [속보] 검찰, 경찰 국수본 압수수색…‘정치인 체포조’ 혐의 관련
- 환율 1450대 급등, 반도체주 급락…딥시크·금리동결 악재 한번에
- “한국 여행 가쟀는데…” 피겨계, 미 항공기 추락에 깊은 슬픔
- “끔찍한 헤어의 괴짜”…딥시크 창업자 40살 량원펑 누구
- 헌재, 국힘 재판관 공격에 “탄핵심판 본질 왜곡” 반박
-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