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AI의 공습…미국 덮친 딥시크 쇼크

추동훈 기자(chu.donghun@mk.co.kr) 2025. 1. 29. 09: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23년 설립된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지난 20일 내놓은 AI모델 딥시크 R1이 전세계를 뒤흔들고 있다.

딥시크 R1은 미국 수학경시대회인 AIME 2024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79.8%의 정확도로 79.2%를 기록한 오픈AI의 추론모델 o1을 앞질렀다.

리창 중국 총리가 딥시크 R1 출시일인 지난 20일 베이징에서 량 대표를 만난 것 역시 미중 AI 경쟁이 한층 격화될 것이란 전망에 불을 붙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 스타트업 출시 ‘딥시크R1’
美기업 10분의 1불과 비용
오픈 AI보다 성능 우수 판정
엔비디아 시총 850조 증발
트럼프 “미 기업 초집중해야”
‘딥시크’ 로고. [로이터 = 연합뉴스]
2023년 설립된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지난 20일 내놓은 AI모델 딥시크 R1이 전세계를 뒤흔들고 있다. 지난 2022년 챗GPT 출시 때와 맞먹는 충격이란 평가도 나온다.

중국기업이 기존의 10분의 1 비용으로 개발한 AI모델이 오픈AI의 최신 모델(o1)보다 더 뛰어난 성과를 기록했다. 기술개발을 주도해 온 미국 AI기업들의 고비용 구조에 대한 회의론이 커지는 상황에서 나온 ‘저비용 고성능’모델이 미·중간 AI패권 경쟁을 격화시킬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뉴욕증시에서는 고사양 반도체들에 대한 수요가 줄 수 있다는 우려로 엔비디아를 비롯한 반도체 관련주들이 폭락했다. 엔비디아 주가는 27일(현지시간) 17% 가까이 폭락하며 하루만에 시가총액 약 850조원이 증발했다.

28일 미국 뉴욕타임스(NYT) 에 따르면 딥시크의 ‘추론 AI’ 모델 일부 성능 테스트에서 챗GPT의 최신 모델보다 앞서는 성적을 받았다. 딥시크 R1은 미국 수학경시대회인 AIME 2024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79.8%의 정확도로 79.2%를 기록한 오픈AI의 추론모델 o1을 앞질렀다. 500개 수학 문제 테스트에서도 97.3%의 정확대로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 코딩과 영어 언어 부문에서도 o1, 메타의 AI(라마 3.1)보다 나은 성능을 보였다.

딥시크는 1985년생 헤지펀드 창립자 량원펑이 지난 2023년 5월 중국 항저우에 설립한 AI스타트업이다. 지난해 12월 대규모 무료 언어모델(LLM) V3를 공개한데 이어 지난 20일 추론 특화 AI 모델 R1을 선보였다.

딥시크는 빅테크 기업보다 훨씬 적은 돈으로 해당 모델을 만든 것으로 알려져 충격을 불러왔다.

회사 측은 딥시크 V3를 만드는데 558만 달러(약 78억8000만원)가 들었다고 밝혔다. 이는 메타의 라마3를 만드는데 든 비용의 10분의 1 수준이다. 메타는 엔비디아의 고성능 AI 반도체 칩 ‘H100’을 대거 사용해 만들었다. 딥시크는 엔비디아의 저가형 AI 칩 ‘H800’을 시간당 2달러에 2달간 빌려 해당 AI 모델을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실리콘밸리의 유명 벤처캐피털리스트인 마크 앤드리센은 “딥시크 R1은 내가 본 가장 놀랍고 인상적인 혁신 중 하나”라며 “AI의 스푸트니크 모먼트”라고 평가했다.

미국이 AI패권 경쟁에서 뒤쳐질 수 있다는 우려는 실리콘밸리 뿐 아니라 미 정계까지 흔들었다. 리창 중국 총리가 딥시크 R1 출시일인 지난 20일 베이징에서 량 대표를 만난 것 역시 미중 AI 경쟁이 한층 격화될 것이란 전망에 불을 붙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중국 기업의 딥시크 출시는 미국 기업들에 경종(wake up call)이 될 것”이라며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초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샘 올트먼 오픈 AI CEO도 이날 자신의 SNS 계정을 통해 “딥시크 R1은 특히 가격을 고려하면 인상적인 (AI) 모델로 새로운 경쟁자가 있다는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고 평가했다. 이어 “우리는 더 나은 모델을 분명히 만들어 낼 것이고 조만간 몇가지 발표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뉴욕 증시도 그간 시장을 이끌었던 AI 반도체주의 폭락과 함께 출렁였다. 엔비디아 주가는 전거래일보다 16.9% 폭락한 118.42달러에 거래를 마쳤다.2020년 3월 이후 최대 낙폭이다. 통신 반도체칩 전문기업 브로드컴 역시 17.4% 폭락하는 등 오라클(-13.8%), 슈퍼마이크로컴퓨터(-12.5%)도 급락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3.07% 하락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