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명률 88%' 마르부르크병 르완다서 첫 치료제 임상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치명률이 최고 88%에 이르지만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은 마르부르크병을 극복하기 위해 이 질병이 확산 중인 아프리카 르완다에서 첫 치료제 임상 시험이 개시됐다고 세계보건기구(WHO)가 밝혔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16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르완다에서 마르부르크병 치료를 위한 세계 최초의 임상시험을 시작했다는 고무적인 소식이 있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네바=연합뉴스) 안희 특파원 = 치명률이 최고 88%에 이르지만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은 마르부르크병을 극복하기 위해 이 질병이 확산 중인 아프리카 르완다에서 첫 치료제 임상 시험이 개시됐다고 세계보건기구(WHO)가 밝혔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16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르완다에서 마르부르크병 치료를 위한 세계 최초의 임상시험을 시작했다는 고무적인 소식이 있다"고 말했다.
이번 임상 시험 대상 약물은 코로나19 치료에도 사용된 적이 있는 항바이러스제인 렘데시비르와 마르부르크 바이러스에 대응하도록 설계된 특수 항체 MBP091이다.
WHO는 "렘데시비르와 MBP091의 안전성과 효능을 테스트하는 것이 이번 임상 시험의 목표"라며 "연구원과 약물 개발자, 아프리카 각국의 보건 공무원 등이 약 2년에 걸쳐 이번 임상을 준비해왔다"고 설명했다.
마르부르크병은 고열과 심한 두통, 출혈 등의 증상을 수반하는 급성 열성 감염병이다. 과일박쥐를 매개체로 인간에 감염된 것으로 전해진다.
환자의 체액이나 신체에 접촉하면 옮을 수 있는 이 병은 최고 88%에 이르는 치명률과 강한 전염성으로 에볼라 바이러스와 유사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아직 공인된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병에 걸리면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수분 보충 치료 등으로 그치고 있다.
르완다에서는 지난달 27일 첫 발병 사례가 나왔다. 이후 58건의 감염 사례가 확인됐고 이 가운데 환자 13명이 숨졌을 정도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르완다에서 감염 검사를 받은 사람은 2천700여명에 달한다.
prayerahn@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꿀벌이 美과일 75% 맺어주는데…올겨울 원인모를 떼죽음에 비상 | 연합뉴스
- 경찰 '경북산불' 실화 혐의 50대 입건…"산림보호법 위반"(종합) | 연합뉴스
- 전철역 분실 태블릿 주인 찾아주려다…마약 운반책들 '들통' | 연합뉴스
- 술 마신 채 스쿨존서 시속 102㎞ 난폭운전…2심서 형량 늘어 | 연합뉴스
- 청주서 역주행 승용차, 경차와 정면충돌…3명 사망(종합) | 연합뉴스
- "죄책감 갖고 살아" 깨진 병으로 제 손목 그어 전연인 협박 30대 | 연합뉴스
- "탄핵 직전 대통령에 빙의"…웹소설판에 등장한 '계엄물' | 연합뉴스
- 코인 투자 20대男 개미 '200만 대군'·50대女 억대 보유 눈길 | 연합뉴스
- 산불 피해 대피하다 전복된 트럭서 이웃 구한 부자 | 연합뉴스
- 때아닌 눈인데 색깔도 낯설다?…수도권서 '검은 눈' 목격담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