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누적생산 1억대 돌파 대기록 썼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현대자동차가 전체 누적 생산량 1억 대 달성이라는 대기록을 썼다.
현대차는 이후 1996년 생산 1000만 대를 달성한 데 이어 튀르키예, 인도, 미국 앨라배마, 체코 등 해외 공장에서 차량 생산을 본격화하며 2013년 누적 생산 5000만 대를 넘어섰다.
장재훈 현대차 대표이사 사장은 "1억 대 누적 생산의 성과는 창립부터 지금까지 현대차를 선택하고 지지해 준 수많은 글로벌 고객이 있었기에 달성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내수·수출 등 글로벌 업체 반열
현대자동차가 전체 누적 생산량 1억 대 달성이라는 대기록을 썼다. 1967년 회사 창립 이후 57년 만에, 1976년 수출을 개시한 지 48년 만에 거둔 기록이다.
현대차는 올해 9월 누적 생산 차량이 1억 대를 넘어섰다고 30일 밝혔다. 현대차는 이날 울산공장 출고센터에서 이동석 국내생산담당 사장, 문용문 노조 지부장 등 임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글로벌 차량 생산 1억 대 달성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1억 1번째 생산된 차량인 ‘아이오닉5’는 출차 세리머니를 마치고 생애 첫 차로 이 차를 선택한 20대 고객에게 인도됐다.
현대차는 고 정주영 선대회장이 1960년대 국토 재건과 국내 도로 확충을 계기로 미국 포드와 제휴 협상을 거쳐 1967년 12월 설립됐다. 창립 1년 만인 1968년 11월 울산 조립공장에서 1호 차량 ‘코티나’를 만들었다. 포드의 코티나 2세대 모델을 국내에 들여와 조립 생산을 시작한 것이다.
1975년 국내 최초 독자 모델 ‘포니’를 양산해 자동차의 대중화를 이끈 현대차는 이에 힘입어 1986년 전 차종 100만 대 생산을 돌파했다. 포니는 1976년 한국 승용차 최초로 에콰도르 등 해외에 수출된 차종이다. 1986년에는 국내 첫 전륜구동 승용차 ‘포니 엑셀’이 자동차 본고장 미국에 수출됐다.
현대차는 이후 1996년 생산 1000만 대를 달성한 데 이어 튀르키예, 인도, 미국 앨라배마, 체코 등 해외 공장에서 차량 생산을 본격화하며 2013년 누적 생산 5000만 대를 넘어섰다. 이후 기록 달성 주기는 점차 짧아져 2019년 8000만 대, 2022년 9000만 대를 생산했다. 1967년부터 올해 8월까지 가장 많이 판매된 차량은 아반떼(1537만 대)였다. 이어 엑센트(125만 대), 쏘나타(948만 대), 투싼(936만 대), 싼타페(595만 대) 등이 뒤를 이었다.
글로벌 완성차 업계에서 누적 생산 대수 1억 대를 넘긴 곳은 독일 폭스바겐, 일본 도요타,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 포드 등 기업 역사가 100년 안팎인 업체들 뿐이다. 장재훈 현대차 대표이사 사장은 “1억 대 누적 생산의 성과는 창립부터 지금까지 현대차를 선택하고 지지해 준 수많은 글로벌 고객이 있었기에 달성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