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세라믹기술원, 화재위험 없는 소형 전고체전지 대량양산기술 확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인체에 무해하며 발화 위험이 없는 꿈의 배터리 '전고체전지' 상용화의 문을 열었다.
한국세라믹기술원(원장 정연길) 최문희, 신효순, 지상수 박사 연구팀은 산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이용해 전자제품 PCB 기판에 표면 실장 가능한 소형 전고체전지를 개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연구진이 인체에 무해하며 발화 위험이 없는 꿈의 배터리 '전고체전지' 상용화의 문을 열었다.
한국세라믹기술원(원장 정연길) 최문희, 신효순, 지상수 박사 연구팀은 산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이용해 전자제품 PCB 기판에 표면 실장 가능한 소형 전고체전지를 개발했다. 수동부품 제작을 위한 다층 적층 공정을 이용해 대량생산이 가능한 공정기술도 확보했다.
최근 사물인터넷(IoT) 전자기기 내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이 구현됨에 따라 기판 자체에 실장돼 개별 전원공급이 가능한 동시에 발화 위험이 없는 고안전성 소형 이차전지 개발의 필요성이 높아진 상황이다.
다만 초소형 이차전지는 일반적인 전기자동차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용 이차전지보다 크기가 작아 기술적 난이도가 높고 이에 따른 에너지 밀도 개선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7가지 이상 배터리 소재들을 혼합해 균일한 두께의 박막시트를 제작한 후 이를 일정하게 적층해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키는 다층 적층 공정을 기존 다층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MLCC) 제조 공정과 접목했고 전자기판에 실장 가능한 표면실장소자(SMD) 형태로 제작하는데 성공했다.
나아가 해당 적층 기술을 통해 대면적화 공정 기술 개발도 진행하고 있어 높은 안정성이 요구되는 ESS까지 응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을 전망이다.
최문희 박사는 “이 전고체전지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고체전해질 및 전극 소재들 각각의 표면 처리 기술과 우수한 품질의 박막시트화 기술을 개발해 차세대 소형 전고체 제작을 위한 핵심 기초기술을 확보했다”면서 “공정비용이 저렴한 다층 적층 공정 방식은 대량생산도 가능한 획기적인 기술로 볼 수 있어 배터리 소재를 개발하는 다양한 국내 연구진과 공동연구가 이루어진다면 IoT 기기에 직접적인 사용이 가능한 날이 머지않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고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이 시행하는 '기판실장용 산화물계 초소형 적층 전고체전지(MLCB) 개발 사업'의 지원을 받아 추진됐다.
진주=노동균 기자 defrost@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4분기 '대어급 신차' 레이스…판매 침체 뚫는다
- 삼성, HBM 품질 혁신…D램 칩 선별공정 도입
- 지상파 '패스트무비' 첫 고소…“유튜브 저작권 침해 심각”
- 美 마이크론, 깜짝 실적으로 '반도체 겨울론' 일축…“AI 수요 강력”
- 챗 GPT, 한국말도 이제 잘한다… 애교도 사투리도 척척
- 6세 소녀 비명에 몰려온 원숭이…아동 성범죄자에 달려들었다
- 우크라 드론 향해 두 손 모은 러 군인 “살려주세요”
- “벌써 700만명”… 코로나 풀리자 북한 사람들이 먼저 한 일은?
- 국민연금 등 4대 사회보험, DR 재구축…공공 DR 시장 커진다
- 장익철 베스핀글로벌 본부장, “AI 에이전트, 전문 기업 통해 단계별 구축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