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층 랜드마크 vs 55층 두동’… GBC에 갈라진 서울市·현대차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시와 현대차그룹이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조성하는 '글로벌 비즈니스 콤플렉스(GBC)' 설계 변경안과 관련해 실무 협의를 했다고 14일 밝혔다.
서울시에 따르면, 양측은 이날 오후 실무진 회의에서 GBC 설계변경안에 대한 입장을 각각 설명했다.
이 자리에서 시 측은 ▲현대차그룹이 제출한 변경안이 '중대한 변경'에 해당하며 ▲일반적·제도적 절차로서 추가 협상 없이 계획을 변경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시와 현대차그룹이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조성하는 ‘글로벌 비즈니스 콤플렉스(GBC)’ 설계 변경안과 관련해 실무 협의를 했다고 14일 밝혔다. 양측은 이 자리에서 ‘빌딩 층수’를 두고 이견을 확인했으며, 정식 재협상 여부에 대해서도 접점을 찾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에 따르면, 양측은 이날 오후 실무진 회의에서 GBC 설계변경안에 대한 입장을 각각 설명했다. 시 관계자는 “실무 차원에서 서로의 입장을 확인하는 자리였다”며 “입장 차가 있었고, 이를 좁혀가기 위한 협의를 계속 이어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다만 “본격적인 재협상을 시작한 것은 아니다”라고 했다.
이 자리에서 시 측은 ▲현대차그룹이 제출한 변경안이 ‘중대한 변경’에 해당하며 ▲일반적·제도적 절차로서 추가 협상 없이 계획을 변경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한다. 또 재협상을 위해 현대차에 협상단 구성을 요청했다. 앞서 이런 내용의 공문도 두 차례 전달했다. 반면 현대차 측은 설계변경을 위한 재협상은 불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가 기존에 지으려던 빌딩은 ‘105층 짜리’ 초고층 빌딩이다. 그러나 이후 공사비 부담 등을 이유로 ‘55층 짜리 2개 동’으로 설계안을 변경했다. 인허가 주체인 시는 수용 불가 입장을 밝혔다. 사전협상을 했던 2016년 당시 내용과 크게 달라져 공식적으로 재협상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시는 “현대차가 105층 랜드마크 건물을 짓는 대신 공공기여 등을 줄여주기로 했었다”며 “기존 설계를 대폭 변경하려면 다시 협상을 하는 게 맞다”고 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6년 만에 다시 만난 한·인니… KF-21 공동개발 재시동
- ‘해킹 사고’ SK텔레콤, 8월 통신 요금 50% 할인… 침해 사고 발생 전 고객 ‘위약금’ 면제
- [가덕도신공항의 그림자]③ 피해어민 6000명 “보상금 수조원대 예상”… 비용추계 빠진 특별법
- 포탄 수주 늘고 구릿값 오르고… 풍산 ‘겹호재’
- 송파 외곽지 풍선효과도 전혀 없어…“상급지 이동 막혀 거래 절벽 우려”
- 조선업 부활 시동거는 日… 美 시장서 韓과 붙는다
- 삼성 반도체, 상반기 성과급 지지부진… 메모리 25%·파운드리 0%
- “수율은 잡았는데, 성능은 TSMC 대비 열세”… 삼성 파운드리, 공정 고도화 총력
- “이주비 대출 예외 없다” 정비사업, 추가 이주비가 관건
- 상법 개정에 질주하는 한전·가스공사, 이제 요금 동결하면 배임죄?